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웹 기반 대학도서관서비스의 사용편리성에 관한 연구

A Usability Study of the Web-based Academic Library Servic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2, v.13 no.1, pp.59-75
유재옥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웹기반의 대학도서관서비스의 사용편리성을 서비스의 효율성, 효용성, 만족도 변인으로 측정하였다. 무작위로 선정한 13명의 피험자에게 총6종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2001년 12월 15일부터 2002년 2월 27일까지 덕성여자대학교도서관 정보검색실에서 피험자들의 과제수행 과정을 관찰하였다. 피험자들은 6종의 과제에서 3.6개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였다. 평균 과제성공률은 60%이며. 과제 당 소요시간은 2분 22초로 나타났다. 가장 효율적인 서비스는 도서검색서비스(100%)이며, 가장 비효율적인 서비스는 기사검색서비스로 23.1%의 가장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 또한 가장 효용성이 높은 서비스는 성공과제 당시간이 가장 적게 소요된 도서검색서비스(42.2초)이며 가장 효용성이 낮은 서비스는 기사검색서비스(271.7초)로 들어났다. 피험자들은 도서관웹사이트 상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도서구입신청서비스를 가장 편리하다고 간주하였으며. 또한 가장 만족스러운 서비스로 평가하였다. 웹 기반으로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서비스는 풍부한 정보자원을 소장하고 각종 양질의 도서관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이용자에 의한 사용편리성(usability)은 도서검색을 제외하고는 저조한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문검색이나 기사검색과 같은 고급서비스는 극히 성공률이 낮아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keywords
웹 대학도서관 도서관서비스 사용편리성 평가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web-based academic library services delivered to users in terms of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13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on the voluntary basis in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from Dec. 15, 2001 to Feb. 27, 2002. They were given six kinds of tasks related to the use of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library website. 3.6 tasks out of 6 were given right answers by subjects, with success rate of 60% and average spent time of 2 minutes and 22 seconds. The most effective library services on the website was a book search with success rate of 100%. However the least effective service was journal article search with success rate of 23.1% . The most efficient library service on the web was a book search. 100% of subjects found the answer in 42.2 seconds, while the least efficient library service was journal article search in which 23.1% of subjects found the answer in 271.7 seconds. Subjec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book request service on the web since it is the easiest to understand and the most convenient to use.

keywords
웹 대학도서관 도서관서비스 사용편리성 평가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