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진본성 확보를 위한 전자기록물 관리방안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to Ensure the Authenticit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5, v.16 no.2, pp.43-59
송병호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전통적인 종이기록물은 그대로 보존하여야 진본이 유지된다. 그러나 전자기록물은 포맷과 메타데이터가 수정 변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변환이 적법한지에 대한 증명과 적법하지 않은 변경은 없었다는 증명이 모두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기록물을 획득한 시점에서부터 진본임을 확인하고, 보존기간동안 유실을 방지하여야 하며 진본임을 증명할 방법이 있어야 하고 진본이 아님이 판명 났을 때의 사후 대처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록물 진본성의 취약성을 설명하고 필요기능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실현할 방안들에 대하여 제안하고 그 결과 전체적인 전자기록물 관리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전자기록물, 진본성, 인증, 전자서명, 보존

Abstract

Traditional paper records have to be preserved in the original form to ensure the authenticity. On the other hand. electronic records have to be continuously changed in content itself or metadata to be preserved in long-term period, so the proof of the legality of each change made so far and the proof of the protection against all the illegal changes are the essential. to ensure these requirements. We need some functions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of original captured records. the protection of records against the loss or forgery, the authentication of preserved records, and the treatment of authentication-failed records. This paper explains the fragility of authenticity for electronic records, identifies the functions needed, suggests the implementation idea, and describes the overall management polity for electronic records to ensure the authenticity.

keywords
전자기록물, 진본성, 인증, 전자서명, 보존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