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 처리하는 분야가 급속도로 확대됨에 따라 데이터세트에 대해서도 일반기록물과 같이 수집 평가 보존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록관리 분야에서의 데이터세트에 대한 관심은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데이터세트를 기록물로 인식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하기 위한 기본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제표준인 ISAD(G)를 준용하여 RAD, MAD와 데이터세트를 기록물로 인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NDAD의 기술요소를 세밀히 조사 분석하여, ISAD(G)의 기술영역을 기준으로 국내 데이터세트 기술에 필요한 각 기술영역과 영 역별 내 주요 기술요소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practice of collecting and treating data by using a data base system, it's increasingly more critical to approach data sets in the same manner as general records in the collection, evalua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rocess. Despite the importance, however, the interest level in data sets in Korea's records management is very low. In order to suggest basic items to regard data sets as records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descriptive elements of data set records. descriptive elements of data set records were sugges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ose ones adopted by the agencies that regarded data sets as records and provided the concerned service as well as the descriptive rules of electronic records set by the advanced nations in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descriptive areas of ISAD(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