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폭소노미를 도입하여 라이브러리 2.0을 구현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일반적인 패턴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하나의 콘텐츠당 약 1.35개의 태그가 사용되었다. 태그의 전형적인 패턴은 사용개수가 증가할수록 사용빈도수가 감소하는 멱함수 분포를 따르며, 전체 79.51%의 태그는 콘텐츠의 주제를 표현하고 있고, 84.61%의 태그는 사회적 동기에 의한 태그이다. 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집단지성 구현도는 20.83%로 조사되었다. 4분기로 나누어 태그의 증감율을 살펴본 결과 A 대학도서관은 분기별 차이가 큰 반면, B 대학도서관은 분기별 차이가 적었다. 이용자는 평균 5.25개의 태그를 태깅하였고, 태깅 행태에 따라 이용자의 성향을 세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introduced folksonomy to general patterns of folksonomy tags for the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practically implemented Library 2.0. From the results, we can see that average about 1.35 tag is used for one content. Typical pattern of the tags follow a power function that frequency of use decreases as No. of uses increases, 79.51% of tags are expressing topic of contents, and 84.61% of tags are tag of social motiv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crease/decrease rate for tags divided into 4 quarters said that A university library has big differences from quarters while B university library has similar data between quarters. The users have used average 5.25 tags. Trends of the users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agging patterns of the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