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컬렉션코드를 활용한 어린이도서관 청구기호 간략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implifying Call Numbers with Collection Codes at Children's Librarie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9, v.20 no.1, pp.23-38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이미화 ( 한성대학교 홍보교류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편리하게 도서관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어린이도서관의 컬렉션코드 및 청구기호 간략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표적인 공공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 및 저자기호표, 분류기호의 확장전개 수준, 컬렉션 구성과 컬렉션별 청구기호 조합 방식을 설문 및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 어린이도서관에서는 소설, 그림책, 전기 등과 같이 어린이의 이용이 많은 자료를 중심으로 별도의 컬렉션을 구성하고, 분류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컬렉션에 맞게 컬렉션코드와 저자의 성으로 간략하게 청구기호를 부여하였다. 국내 도서관에서도 컬렉션코드를 활용하였으나 다양하지 않고, 각 컬렉션 내에서 한국십진분류표를 이용해 배열하였다.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도서관을 위한 컬렉션의 종류를 비소설, 소설, 소설/미스터리, 소설/공상과학, 그림책, 만화, 언어별, 옛이야기, 전기, 신화, 개념책, 명절, 수상작, 공룡, 곤충, 만들기, 탈것, 큰책, 팝업책, 그림연극, 보드책, 참고, 잡지, 시리즈, 새 책, 비디오, 오디오로 제안하였고, 여기에 연령구분표를 첨가하여 컬렉션의 추가적인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소설의 경우 하위 컬렉션으로 장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청구기호도 컬렉션 코드를 활용하여 간략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어린이도서관, 어린이자료, 컬렉션코드, 청구기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llection codes and simplification of call numbers for children's easy access to the children's materials. The classification schemes, author tables, expansion of classification schemes, collections codes, classification numbers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s librarie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with librarians. As a result, in foreign children's libraries, it was common practice to shelve children's materials separately into various collections and sub-collections, to mark the spine with collection code and the lead characters of the author's last name, and not to stick with their classification scheme when it comes to highly circulated children's materials such as fiction, picture book, biographies and so on. Also, in domestic children's libraries, it was found that a collection code was used a few and each call number was almost assigned by KDC number.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types and codes of collection and sub-collection were divided as non-fiction, fiction, fiction/mystery, fiction/science fiction, picture book, cartoon, language, folks and fairy tales, biographies, legend, concept book, holiday, award, dinosaur, insect, DIY, transportation, tall book, pop-up, story book, board book, reference, magazine, series, new book, video, and audio and were easily expanded by combining age tables or fiction genre. Also, new simplifying methods of building call numbers with collection codes were suggested.

keywords
어린이도서관, 어린이자료, 컬렉션코드, 청구기호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