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우리나라 영상분야 자원관리 현황 및 개선전략

Archiving Situation and Improvement Strategy of Video Resources in Korea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9, v.20 no.4, pp.131-142
김선애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영상산업이 국가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자원 확보를 통한 영상산업 전반을 지원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영상 자원 확충전략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의 영상자원 확보는 한국영상자료원의 한국영화에 대한 아카이빙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상분야 자원확충을 통해 영상 산업 및 학술연구 지원역량을 강화하여 영상산업의 경쟁력 제고가 가능할 수 있도록 영상분야 자원확충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상자원의 확충방안으로 제시한 방법은 크게 영상기록물과 자료적 가치가 있는 파생 기록물 등을 위한 아카이빙을 담당할 기관과 영상분야의 연구와 발전을 위한 학술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영상자료 아카이빙과 관련하여 한국영상자료원의 역할조정과 방송자료 아카이빙의 일원화 혹은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영상자원, 영화자료, 영화아카이빙, 방송자료아카이빙

Abstract

Visual industry can contribute to this national industry is a high-value industry. Nevertheless, video resources expansion strategy at national level is lacking. There have been sever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 conducting film archiving and related activities in Korea. Korean Film Archive(KOFA) is the only institution whose status is protected by the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rategic plan which is able to support the video industry and academic research. For methods to strengthen video resources, role adjustment of KOFA conducting film archiving and unification or integration of collection system for archiving broadcast materials were proposed.

keywords
영상자원, 영화자료, 영화아카이빙, 방송자료아카이빙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