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서교사 자격 제도 및 직무에 대한 반성적 고찰

A Reflective Inquir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Jobs for the Teacher Librarian in Korea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2, v.23 no.4, pp.161-18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61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제 학교도서관 기준에서는 사서와 교사의 자격을 갖춘 학교사서를 학교도서관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하여 보조직원의 지원을 받도록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사서와 사서교사의 자격 요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에 둘 수 있는 인적자원은 교사의 자격 요건을 갖추지 않은 사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직무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도서관 기준과 학교도서관 관련법에서 정한 자격 요건이 상충하기 때문에, 사서직의 전문성과 사회적 위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사서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은 학교도서관 교육 기능의 불완전성, 교육 서비스의 불공평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절심함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교육주제 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격 제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도서관에 두는 인적자원의 유형을 사서교사와 준전문가 그리고 자원봉사자로 구분함으로써 자격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의 토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특히 '경영자, 교수자, 정보서비스, 리더, 협동, 파트너'의 틀 안에서 자격 유형별 직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사서직, 사서교사 자격 제도, 사서교사 직무 분석

Abstract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school library suggests that school librarians qualified for librarian and teacher should run the school library. And library assistants should support the teacher librarian to carry out a role as a teacher. Despite the difference of requirements, librarians without teachers' license are under the human resources for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job description between the school librarian and librarian is not well-defined in Korea. The different requirements in the library standards and the school library related laws have led to weaken professionalism and social status of librarianship. The condition that teacher librarians are not in the school library have brought the pressure to overcome imperfect functions of the school library and unfairness of educational servi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librarians' qual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ir identity as educational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e ought to also build proper foundations of social recognition about librarianship through classifying the types of human resources in the school library into the teacher librarian, library paraprofessional and volunteers. Especially we should hold the job analysis based on administrator, teacher, service, leader, collaboration, and partner.

keywords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사서직, 사서교사 자격 제도, 사서교사 직무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