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장소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로컬리티 기록화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x 등이 주창한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과 우리나라에서 최근 이루어진 관련 연구 등을 분석하여 로컬리티 기록화의 방향과 전략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로컬리티 기록화 패러다임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공간 기반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spanDoc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기록화의 원칙, 구조, 절차를 포함하며, 특히 로컬리티 기록화의 결과가 디지털 환경에서 축적되고 활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It begins with analysing the changes of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locality documentation through literature surveys. Based on the analysis, a new paradigm of locality documentation is suggested in digital environment. It then suggests space-based documentation model, i.e., 'spanDoc Model (SPAace-based Networked Documentation Model)' which represent the new paradigm. The model focuses on planning the framework of use and accumulation of locality docu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