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KDC 제6판의 약학 분야 분류항목 전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약학의 학문 영역과 체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KDC초판부터 제6판까지 약학 분야에 사용된 용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KDC 약학 분야의 분류항목 전개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넷째, KDC와 DDC, NLMC, 연구분야분류표에 전개된 약학 분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KDC의 약학 분야는 제4판 이후 전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본표에 전개된 요목 및 세목에 관계된 새로운 주제들을 분류항목으로 추가 전개하여 관련 문헌들의 분류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용어를 현대화하였다. 오늘날 새롭게 대두된 제약 산업분야, 항암관련 분야, 생물약학 분야를 미사용 중인 518.7-.8에 배정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of pharmacy field in the KDC 6th edi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reviewed academic area and system of pharmacy. Second, we analyzed headings of pharmacy field from first edition to 6th edition. Third, we analyzed change process of classification items in pharmacy field. Forth, we investigated general problems concerning pharmacy field in the KDC 6th edi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DDC, NLMC, and Research Field Code by Korean Research Foundation. As a result, pharmacy field of KDC has never changed since its 4th edition. And then, this study was added new subjects related to sections and subsections of pharmacy and suggested modern terminology. Also newly assigned pharmaceutics industry, cancer treatment and biological pharmaceutics fields under 518.7-.8 which do not use in pharmacy field for efficient class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