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도서관의 교내 지식자원 수집활동은 대학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크고, 디지털 자원의 수집은 일부 유형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선진국 주요 대학들은 지식생산기지로서 이미지 개선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대학의 지식자원에 대한 OA기반 기관리포지토리 방식의 사회적 개방과 공유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본고는 대학 지식자원의 통합관리 적임자로서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학원, 연구소, 교수학습센터, e-learning 지원센터, 박물관, 출판국, 기록관 등 교내 다양한 조직들이 생산하는 지식자원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통합관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관련법제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76개 종합대학의 도서관규정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납본범위의 확대와 디지털납본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비방안을 제시하고, 관련 규정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knowledge resource collection activities on campus i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niversity, and their collection is concentrated on some types of digital resources. In recent years, the main universities in developed countries has developed actively in social openness and share activities of their knowledge resources, through the OA-based institutional repository, for the purpose of image improvement and competitiveness as a knowledge production base. This study examined ways to improve the relevant regul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collect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knowledge resources from graduate school, research institutes,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e-learning center, museum, press, a variety of campus organizations, so as to enhance the role of the library as the right manager of knowledge resources on campus. To this end, this study,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relevant regulations, investigates the operating situation of the library regulations of 176 universities and suggests necessary improvement methods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gital legal deposit and expand its sc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