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발표한 논문들의 계량서지적 특징과 연구패턴, 연구영역을 규명하고 문헌정보학분야의 또 다른 학술지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정보관리학회지"의 논문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학술적 특징과 최근 동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2010에서 2014년까지 5년간 발행된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300편, "한국문헌정보학회지"의 344편 그리고 "정보관리학회지"의 283편, 총 927편을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분석, 저자키워드 분석, 그리고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계량서지학적 분석에서는 "한국비블리아학회지"와 다른 학회지와 별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다른 학회지와는 다르게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주제는 정보서비스였고 그 다음은 도서관경영과 독서교육이었으며 서베이 방법과 사례연구를 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적구조 분석을 통하여 '공공도서관과 독서 영역', '대학도서관과 장서관리 영역',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 영역'이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최근 핵심연구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s articles in published in the The Journal of Korean Biblio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KBSLIS) over 5 years from 2010 to 2014 for identifying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JKBSLIS. 300 articles of JKBSLIS are analyzed in terms of bibliometric factors, research theme, methodology, author keywor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comparing with 344 article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KSLIS) and 283 article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KOSIM). In results,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JKBSLIS and the other two journals, JKSLIS and JKOSIM regards on bibliometric factors. The domain research areas in the JKBSLIS are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and 'Reading Educ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most popular methods are 'survey' and 'case study' and that the main research areas in the shown intellectual structure are 'public library & reading', 'academic library & collection management', and 'school library &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