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특성화 도서관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화 정책, 특성화 분야, 특성화 효과 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은 국내외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이며, 특히 국내의 경우 1998년에도 단기적으로 추진했던 정책이었고, 13개가 특성화도서관으로 지정되어 그 중 9개가 지금까지도 운영되어 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특성화 유형이나 방향을 보았을 때, 장서 특성화 관련 사례들이 많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지역대표도서관들도 전체 주제분야를 서비스하되 나름대로 특성화 주제를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자료 수집 및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특성화 도서관에 배치될 전문인력의 자격, 자질, 역량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며, 특히 이미 특성화된 도서관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여 이후 특성화를 추진하는 도서관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library specialization, and specialization policies, areas, and effects in order to delineat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library specialization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Korea, a short-term policy was implemented in 1998, designating 13 special libraries, nine of which are currently in operation. Regarding types and directions of specialization, specialization of collections was found in many cases.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were also found to have designated specific subjects they focus individually in terms of collections and services while providing services in subject areas. The future directions include research in qualifications and competence of professionals employed in special libraries, and in user satisfaction and needs to inform libraries' efforts for speci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