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서비스 현황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정책분야별 전문성과 역할을 강화하고 정보서비스의 지속적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2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서비스 계획단계, 조사 제공단계, 평가단계, 시스템 운영, 사서에게 요구되는 필요능력, 역할 확대 및 변화에 대한 인식, 애로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7영역, 12항목, 6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질적분석을 위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도서관의 신생업무로 연구정보 관리툴 도입 운영, 자문위원회 운영, 발간물 관련업무 수용 등을 발견하였다. 제언으로 직무중심의 모듈별 표준매뉴얼 제작,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역할 확대를 위한 계속교육, SNS의 적극적인 정보서비스 활용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librarian's percep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maximize their expertise and role of each policy field and promot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rvices. The researcher surveyed 22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librarians on their perception of service planning stage, investigation and provision stage, evaluation stage, system operation, required capacities for librarians, role expansion and change, and job difficulties.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7 domains, 12 items, and 61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discovered newly required tasks in libraries such as introducing research information management tools, operating an advisory committee, and conducting publications-related tasks. Suggestions were made to encourage standardized manuals for modules based on job tasks, Continuing education to expand the role of subject librarians, and utilization of social media in inform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