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urse Developing and Analysis of Self-Reflective Journal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7, v.28 no.4, pp.321-3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4.321
강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keywords
문제중심학습, 문헌정보학, 수업설계, 문헌정보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aching model applying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benefits that students felt. This study initiate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rom a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Throug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the scenario was modified. The problem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 stage activity (problem analysis, PBL class suitability judgment, contents analysis, learner analysis, environment analysis, PBL operating environment decision, PBL class) and Strategic Design (problem situation design, learning resource design, Facilitation design, operational strategy design, evaluation design, PBL operating environment design). Based on the initial scenario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oblem - based learning through learners' reflective diaries.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ere improved in the first PBL problem situation, and the method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as utilized. The results on analyzing the effects of education about the first problem-based learning and students' opinions about modification will be used for the second revision and supplement of the course design.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PBL course development and expects further application and research.

keywords
문제중심학습, 문헌정보학, 수업설계, 문헌정보학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