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소재도서관의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산업 및 공예 소재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분류체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소재도서관의 운영사례와 분류체계를 조사한 후 일반분류표인 KDC와 DDC의 소재관련 분류항목을 비교 분석하여 소재자료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재도서관의 분류체계는 주제 중심으로 분류하지 않고 소재명과 형태로 분류하거나, 또는 일반분류표처럼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하여 주제 중심으로 분류한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소재도서관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소재정보의 접근 및 공유가 어렵다. 그러므로 소재도서관에 소장된 소재정보의 공유를 위한 소재도서관용 표준분류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classify various industrial and craft materials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terials libraries in domestic and foreign.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operation cases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 libraries, and then proposed a method to classify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items of KDC and DDC.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terial library was not classified by subject, but classified into the name of material and type, 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 material library was divided by Arabic numeral as a general classif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to access and share information because most of material libraries use th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library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o shar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terial libr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