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이 근현대사진기록 가치에 대한 인식조사와 근현대사진기록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이용자 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기록물의 증거적 가치, 정보적 가치, 이용적 가치, 그리고 실물적 가치를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근현대사진기록의 이용의사를 설정하여 독립요인들이 어떻게 사진기록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물적 가치와 정보적 가치가 근현대사진기록의 이용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추후 근현대 사진기록 아카이브를 구축하거나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modern photographic recor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95 potential users for photographic records in futur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included evidential value, informational value, usage value, intrinsic value. Dependent variable was selected as use intention for photographic records. The results of analysis of multi-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vidential value and intrinsic valu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use intention for photographic records in modern kore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building archives for photographic record or for developing the policy for effective photographic record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