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보품질과 인지적 권위의 영향에 초점을 두고 대학생들이 진지한 여가 활동의 정보원으로서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때,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209건의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품질의 하위 요인에서는 정보의 적시성, 적합성, 정확성이, 인지적 권위의 하위 요인에서는 플랫폼 특성에 대한 인지적 권위가 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지적 권위의 하위 요인들이 이용자의 정보품질 판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 활동의 정보원으로서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동영상 콘텐츠 이용 의도를 정보품질과 인지적 권위의 영향에 초점을 맞춰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what kinds of factors affect university students to choose video contents as information sources of serious leisure activities. Among other, It focuses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quality and cognitive authority. This study analyzed 209 sets of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from across the country. The implication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components of information quality, timeliness, relevance, and accuracy had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on the intention of video contents use as an serious leisure information source, and among those of cognitive authority,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s was the most influential one.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at, some sub-components of cognitive authority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qualit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nvestigated the intention of video content use with the two factors (information quality and cognitive authority), especially at this time when more and more people are enjoying video contents as an serious leisure information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