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병사들의 독서환경 접근성을 높이고, 병영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자책 서비스를 중심으로 병영도서관 및 전자책 서비스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병사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자책 이용현황 및 관리의 문제점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도서관 관계자 및 전자책 운영 실무자(담당자)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병사들의 부대 내 전자책 접근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전자책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대 내 IT 환경, 기기, 접근 허용 시간 등의 환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터뷰 결과에서는 전자도서관의 낮은 이용률 및 인지도, 전자책 보급 시 유통업체마다 각기 다른 전자책 뷰어 및 관리 시스템 문제, 진중문고 관리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전자책 보급, 전자책 전용기기 보급 등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등이 제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 서비스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전자책 운영 및 이용 증진을 위한 디바이스 및 플랫폼 활용, 전자책 라이선스 및 수서 시스템 개선, 진중문고 전자책 서비스의 단계적 도입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ilitary library and e-book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 soldiers’ access to the reading environment and to suggest a plan to revitalize the military library.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such as the IT environment, devices, and time allowed for access to activate the use of e-books.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problems such as low usage rate and awareness of the digital library, the use of different e-book viewers and management systems for each distributor when distributing e-books, and the dissemination of e-books for the management and accessibility of the Armed Services Editions in library were raised. In order to activate the e-book service of the library in the military, diversify e-book service promotion and education programs, activations such as establish standards for the e-book operating system for each county, use platforms and devices to promote e-book operation and use, and construction of e-book service using Armed Services Editions were der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