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에서 간행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English-Language Journals of Korean Studies Published in Korea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3, v.34 no.1, pp.145-16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1.145
김민정(Min Jung Kim)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이혜은(Lee Hye-Eun)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연구는 국내에서 간행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A&HCI 및 SCOPUS에 등재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 4종으로, Korea Journal 768편,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466편,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85편, Acta Koreana 321편 등 총 1,840편을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 저자 분석, 저자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학 연구는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학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세 영역 모두 2000년 이후 출판 논문의 수와 범위가 크게 성장하였다. 연구의 대상 시기는 현대, 조선 후기, 근대 일제강점기 순이었다. 논문 저자의 소속 기관은 국내 소속 기관의 저자가 73.34%였으나, 국외 소속 기관 저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저자 키워드는 ‘Korea’(41번), ‘Buddhism’(20번), ‘Koreanwar’(18번) ‘Joseon’(18번) 등이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한국 문화, 문화 전파 현상’, ‘한국 현대 정치사’, ‘한국 사회 민주화 과정’, ‘일제강점기 시대상’, ‘한국 고유 종교철학’, ‘한국 고대사’ 등 총 6가지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의 국제적인 한국학 학술 커뮤니티의 관심사와 연구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한국학, 학술지, 영문학술지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nglish-language journals in Korean studies publishe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English journals in Korean studies indexed in A&HCI and SCOPUS. A total of 1,840 were selected, including 768 articles of the Korea Journal, 466 articles of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85 articles of the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and 321 articles of the Acta Koreana, in connection with content analysis, author analysis, author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In results, the domain research of Korean studies is Humanities, followed by Social Science, and Arts and Kinesiology. These three sectors have grown significantly in publishing numbers since 2000. The subject period of the study is in the order of the modern period,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Authors from domestic affiliations made up 73.34% of the total, but the proportion of authors belonging to foreign institutions continued to increase. As for author keywords, ‘Korea’(41), ‘Buddhism’(20), ‘Koreanwar’(18), and ‘Joseon’(18) were derived as top keywords. In topic modeling, six topics were identified; ‘Korean culture, cultural transmission,’ ‘Korean modern political history,’ ‘Korean social democratization process,’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religious philosophy,’ and ‘Korean ancient hist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interests in and research areas of the recent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studies.

keywords
Korean Studies, academic journal, English-Language Journal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2-13
수정일Revised Date
2023-02-1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02-26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