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어린이․청소년 대상 성교육 도서의 출판과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ublication and Use of Sexuality Education Books for Youth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3, v.34 no.2, pp.205-23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205
임여주(Yeojoo Lim)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 도서의 출판과 활용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성교육 도서가 어린이․청소년의 성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청소년 독자가 성교육 도서에 접근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출판 편집자, 성교육 전문가, 공공도서관 사서와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성교육 도서에 관한 이들의 경험과 시각을 폭넓게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 의하면 성교육 도서는 양육자가 어린이․청소년에게 직접 성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워할 때 쉽게 찾아 건네는 매체이며 성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육 자료이기도 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한국에 출판된 성교육 도서 중 다수가 사춘기의 신체 변화를 다루는 ‘몸 교육’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여전히 성평등하지 않은 관점을 강조하는 등 그 주제와 시각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들은 성교육 도서가 키워드 중심의 단순한 정보 전달 매체이기보다, 인간 삶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주체적인 성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기를 바랐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은 도서관에서 성교육 도서를 수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keywords
성교육도서, 성교육, 어린이, 청소년, 성적 주체

Abstract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examines the publication and use of sex education books for youth and considers their values and applicability to sex education for youth in the fut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ook editors, sex education experts, and public librarians—those who play important role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reading of sex education books—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parents and caregivers often rely on sex education books when they find it hard to deliver sex education to their children on their own. Sex education books are also often used by sex education experts in their clas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many sex education books that were published in South Korea only focus on ‘the body education,’ which deals with body changes during puberty. Gender inequality is another subject that needs to be changed. The research participants agreed that a sex education book should not just be a simple medium that delivers fragments of knowledge on sexuality but a broader learning playground where children and young adults can learn independent perspectives on sexuality based on comprehensive views on life. This study suggests a guideline for sexuality education books, which will be useful for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keywords
Sex Education Book, Sexuality Education, Children, Young Adults, Sexual Subject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