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관련 교양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우리 모두의 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알아차리기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 Related to Public Libraries: Knowing Public Library as a Common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3, v.34 no.2, pp.33-5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2.033
한만성(Mahn-soung Han) (우석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가진 ‘우리 모두의 장(공통장)’의 특성을 최대한 발견한 학습 구성요소 설계 및 대학의 일반교양 과목 요건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 구성이다.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문해력 향상의 연습장이자, 디지털 공유문화의 체험장, 차별 없는 모두의 학습장, 메이커 운동의 작업장 그리고 지역공동체 형성의 거점으로서 ‘우리 모두의 장’의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다. 연구자는 다양한 문해력 이해, 정보활용능력의 정보윤리, 공동체 의식 및 다문화 이해, 공공의식과 협동정신 및 컴퓨터 활용능력, 학제적 지식 및 통합적 안목과 시각 등을 학습 구성요소로 설계하고 ‘공유문화와 지역도서관’이라는 명칭의 과목을 개설하였다. 이러한 공공도서관 관련 융합 교양 교과는 지역 및 공공성의 위기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널리 확산하고 실제로 다양한 도서관 서비스를 체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의 인지도 및 이용률 향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공통장, 공공도서관, 교양교육, 정보윤리, 지역공동체, 우리 모두의 장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s for all’ related to public libraries as much as possible, design the learning content, and finally to demonstrate whether the contents meet th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 of universities. The public library is a study hall for multi-literacy, a common place for lifelong learning without discrimination, a place for experiencing digital sharing culture, a place for practicing public architectural design for community regeneration, a workshop for the maker movement and finally, a hub for forming local communities. In short, it has all the characteristics appropriate to being a commons. This subject titled “Sharing Culture and Local Libraries” is designed and composed with various literacy understanding, information ethics of information literac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ublic consciousness, cooperative spirit and computer utilization ability,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integrated perspective. In a situation where the regional and public crises are increasing, this kind of general education subject about public library,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library and further enhancing the local community togetherness spirit by spreading the value of the library widely to students and inducing them to actually experience various library services.

keywords
Commons, Public Library, General Education, Information Ethics, Local Community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