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 - A초등학교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Action Research on Reading Picture Books for Lower-Grade Multicultural Students from Foreign Backgrounds: A Case of Collaborative Lessons with A Elementary School Librar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3, v.34 no.3, pp.59-8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059
위현미(Hyounmee Wee)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미아(Mi Ah Cho)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계획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며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여 수업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계하였다. 실제로 경기도의 A초등학교에서 1학년과 2학년 다문화 학생 5개 반 43명을 대상으로 20주 동안 반별로 각각 3회의 시범수업과 17회의 본 수업, 총 100회의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이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한국어 표현력과 발표 태도가 개선되었으며, 도서관 이용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은 학급 생활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활용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절차는 실제 학교교육 현장의 수업 운영과정에서 구상되고 발전된 것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증가에 따른 수업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반영한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어떻게 수업 환경을 개선하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다문화 학생,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 학교도서관, 언어능력, 정서적 안정감, 초등학교, 실행연구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nstances of implementing picture book reading sessions within school libraries to enhance language proficiency and foster emotional stability among lower-grade multicultural students hailing from foreign backgrounds. The research outlines the design and execution of a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tailored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analysis based on the outcomes of actual classroom implementations. In the course of the study, existing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anguage skills was reviewed. This informed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d class procedure by extracting core components. Indeed, 43 multicultural students in five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were given three pilot classes for each class for 20 weeks and a total of 100 picture book reading classes, each with 17 main lessons. This study establishes the positive impact of picture book reading classes on the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results confirm positive improvements in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as evidenced by enhanced Korean expression and presentation skills, increased library usage, and a positive shift in classroom attitude. The procedure for reading picture books using school libraries proposed in this study was actually conceived and developed in the course of class operation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reflecting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need to improve the class environment. Through this practical investigation, important insights have been extracted regarding how picture book reading sessions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can enhance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elevate learning outcomes.

keywords
Multicultural Students, Picture Book Reading Class, School Library, Language Skills, Emotional Stability, Elementary School, Action Research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