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지명 전거 표준화를 위한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Place Name Authority Standardization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9-2435; (E)2799-4767
2024, v.35 no.1, pp.169-19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4.35.1.169
백지원(ji-won baek) (숭의여자대학교)
이성숙(Sung Sook Lee) (충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지명 전거데이터의 체계적 구축과 표준화 필요성에 따라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에 필요한 한국 특성에 맞는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국가 전거 고품질화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명 전거와 관련된 국내․외 동향 및 사례 조사를 실시하고, 지명 전거 구축을 위한 각국의 규칙과 지침을 분석했다. 이러한 현황 조사 및 규칙 분석을 바탕으로 지명 전거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개념 범위와 용어를 정의하고 지명 전거데이터 지침 개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 지침이 포함해야 할 범위, 체계, 기존 규칙의 참조 내용과 방식 등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침의 체계는 Original RDA와 NCR을 기준으로 삼아 설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구축 대상 범위, 우선 지명 선정 및 기록, 이형 지명의 기록, 지명의 속성 등으로 지침을 구성하고 내용을 제시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향후 논의사항을 밝혔다.

keywords
지명, 지리명, 전거, 전거제어, 기술 규칙, 목록 규칙, 지침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a foundation for high-quality national place name authority data by developing Korean-specific guidelines for place name authority data in response to the need for systematic construction and standardization of authority databases. To this end, a surve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and cases related to place name authority data was conducted, and the rules and guidelines of each country for establishing place name authority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surveys and rule analyses, the scope of concepts and terminology required to build a place name authority database were defined an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lace name authority data guidelines was set. The analysis also determined the scope and framework of the guidelines, and how they should be referenced to existing rules. The structure of the guidelines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original RDA and NCR.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process, the guidelines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in terms of scope of construction, selection and recording of preferred place names, recording of variant place names, and attributes of place names to propose a technical guideline for place name authority data that fits the Korean situation. Future discussions were revealed accordingly.

keywords
Place, Place Name, Authority, Authority Control, Description Rule, Cataloging Rule, Guideline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