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구독종수, 구독료, 이용 현황, 비용-효과 등을 분석하여 한계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도서관을 선정하여 시뮬레이션 도구인 Unsub를 활용하여 패키지 구독과 개별 구독의 효율성을 비교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C대학도서관의 경우, SAGE와 Emerald는 기존과 같이 패키지 구독이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ScienceDirect와 OUP는 개별 구독을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UP의 경우는 개별 구독 시에 연 £6,063을 절감할 수 있고, 접근․이용 가능한 논문 비율이 85.8%에 달했다. 그리고 ScienceDirect는 개별 구독 및 종량제를 병행하는 모델이 예산 절감과 이용 편이성을 감안하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사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Unsub의 적용 한계와 함께 한국 실정에 맞는 ‘K-Unsub’ 버전 개발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number of electronic journal subscriptions, subscription fees, usage, cost-effectiveness, etc. of university libraries to identify limitations and problems. Based on this, a case library was selected and the simulation tools Unsub was used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package subscriptions and individual subscrip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In the case of C University Library, SAGE and Emerald were found to be cost-effective as package subscriptions, while ScienceDirect and OUP were found to be worth considering for individual subscriptions. In particular, OUP was found to save £6,063 per year with individual subscriptions, and the ratio of accessible and usable articles reached 85.8%. In addition, ScienceDirec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model for combining individual subscriptions and pay-per-view systems, considering budget savings and ease of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the limitations of Unsub’s application and policy tasks for developing a ‘K-Unsub’ version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