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자살 시도 계획 수준 및 충동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예측 요인
김효중(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유성은(충북대학교) pp.177-191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1
초록보기
초록

자살 시도는 장기적인 계획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급성 위기 상황에서 충동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효과적인 자살 예방과 개입을 위해서는 이러한 자살 시도의 행동 특성을 예측하는 차별적인 요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 시도 이전 계획 수준과 자살시도 당일 충동성을 예측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각각 알아보았다. 특히,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하여 자살 시도의 계획 수준 및 충동성을 예측하는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별과 연령대를 층화 표집하여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성인 300명을 모집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살 행동 이전 계획 수준 및 자살 시도 당일 충동성을 측정하였고, 주요 예측변인으로 우울, 절망감, 부정 긴급성, 인지적 유연성, 스트레스 경험을 측정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자살 시도 이전의 계획 수준은우울과 부정 긴급성의 상호작용이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 시도 계획 수준이 높았고, 우울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부정 긴급성이 높을수록 자살 시도 계획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자살 시도 당일 충동성은 우울, 인지적 유연성(통제, 대안)과 절망감의 상호작용이 예측하였다. 첫째,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자살 시도 당일 충동성이 높았다. 둘째, 우울 수준이 낮은 경우 통제와 대안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 시도 당일 충동성이 높았고, 셋째, 우울, 통제, 대안 수준이 모두 낮을 경우에는 절망감이 높을수록 자살 시도 당일 충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자살 시도 이전 계획 수준이 높은 자살 시도자와 급성 위기 상황에서 충동적으로 자살 시도를 하는사람들을 위한 차별화된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Suicide attempt is usually made as a result of distal planning and/or proximal impulsivity during an acute cri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that predict the planning level and impulsivity of suicide attempt. Using stratified sampling by age and sex, 300 adults with a history of suicide attempt were recruited. Planning level and impulsivity of the most recent suicide attempt were assessed, and the following were assessed and used as the main predictors: depression, hopelessness, negative urgency, cognitive flexibility, and stress experience.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negative urgency predicted the planning level of suicide attemp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higher the planning level of a suicide attempt. In cases of low levels of depression, a higher level of negative urgency predicted the planning level.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predicted impulsivity of suicide attempt were the interaction of depression,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nd alternatives), and hopelessness. First,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greater the impulsivity of a suicide attempt. Second, when depression levels were low, higher levels of control and alternatives predicted the impulsivity. Third, when the levels of depression, control, and alternatives were low, hopelessness predicted the impuls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ial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for individuals planning suicide and those who may act impulsively during an acute crisis.

삶의 지속여부 결정에 관여하는 판단요인
최소영(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192-207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살을 삶의 지속여부에 대한 결정의 결과로 보고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주된 판단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안락사 시나리오를 통해 삶과 죽음의 선택 문제를 제시하고 과거 삶 만족도, 현재 고통 심각도, 미래개선 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의사결정 변인들이 어떤 관련을 보이는지, 죽음을 선택할 의사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일반 성인남녀 515명을 대상으로 4가지 유형의안락사 시나리오, 우울 증상, 자살 행동, 낙관성 및 비관성,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시나리오 유형에서 미래개선 가능성 예측은 죽음을 선택할 의사와 가장 강한 상관을 보였으며, 위계적 회귀모형 분석에서도 죽음을 선택할 의사에 관한 설명력이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네 가지 시나리오 집단별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재 고통 심각도는 미래개선 가능성 다음으로 죽음을 선택할 의사에 관한 설명력이 높았다. 모든 유형의 시나리오에서 과거 삶 만족도는 죽음을 선택할 의사에 관한 설명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경험의 지속여부에 대한 의사결정과 마찬가지로 삶의 지속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에서도 미래에 대한 예측이 가지는중요성을 확인해 준다. 동시에 자살 의사결정의 경우 생애 경험의 종점인 현재에 대한 평가가 과거 삶 전반에 대한 평가보다 더 중요한 판단요인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ain judgment factors involved in decision-making by seeing suicide as a result of deciding whether or not to continue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s the life and death choice situation through the euthanasia scenario and identifies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decision-making variables: past life satisfaction, current pain severity, and prediction of future improvement.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three variables on euthanasia choice were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from 515 adults, who rated Suicidal Behavior Questionnaire-Revised (SBQ-R),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Scale-Depression (CES-D),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LOT-R),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one of four types of euthanasia scenarios. In all scenario types, the prediction of future improvement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euthanasia choice, and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uture prediction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explaining euthanasia choice. The current pain severity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variable explaining the choice of euthanasia. In all scenarios, past life satisfaction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euthanasia choices. The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predicting the future in deciding whether to continue living, as in the deciding whether to continue the experience. In addition, evaluation of the present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evaluation of past life as a whole in suicide decisions.

사회적 인정이 국가폭력 생존자의 완전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재웅(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김석웅(전남대학교) ; 한홍구(성공회대학교) ; 최현정(충북대학교) pp.208-220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국가폭력을 경험한 사람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인정의 영향력을 완전정신건강 모형에 근거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 폭력을 직접 경험한 당사자 138명의 참여로 국가폭력 외상 경험에 대한 현재 주관적 고통감, 국가폭력 외상후 사회적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현재 주관적 고통감, 복합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증상, 정신적 웰빙을 측정하였다. 국가폭력 후 사회적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주관적 고통감은 주축 요인분석을 통해 일곱 개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그중에 사회적 인정 부재와 관련하여 사회제도적비승인, 국가 비승인, 관계적 비승인의 3요인을 확인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완전 및 양호 정신건강 집단을 근거로 했을 때, 국가 비승인과 관계적 비승인이 쇠약 및 후유증 집단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회복에서 후유증 뿐만 아니라 정신적 웰빙 역시 고려해야 한다. 정의 추구, 사과, 배상과 같은 정부의 사회적 인정은 국가 폭력 생존자의 CPTSD 증상과 정신적 웰빙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으로, 회복은이러한 인정의 토대 위에서 구축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acknowledgement on th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tate violence in Korea based on the complete mental health model. A total of 138 state violence survivors completed surveys measuring perceived distress from state violence trauma and post-state violence social stressors,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PTSD) symptoms, and mental well-being. Conducting a principal axis factoring (PAF) of the post-state violence social stressors, we identified seven factors including three factors related to the absence of social acknowledgment, namely, socio-institutional disapproval, disapproval from state, and relational disapproval.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sapproval from state and relational disapproval were risk factors for the languishing and syndrome group, in reference to the complete to moderate mental health group. For recovery, mental well-being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symptoms. The government’s social acknowledgment, including seeking justice, apologizing, and making reparation, is a crucial factor related to CPTSD symptoms and mental well-being of survivors of state violence, and seeking recovery should be built upon this acknowledgment.

흡연경고자극에 대한 흡연자들의 자동적 접근-회피 경향성
장지혜(계명대학교) ; 윤혜영(계명대학교) pp.221-234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접근-회피 과제를 활용하여 흡연경고자극에 대한 흡연자의 접근-회피 편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흡연자(하루20개비 미만 담배 피우는 남자 대학생, n=19)와 비흡연자(평생 5개비 미만 담배 피운 남자 대학생, n=19)를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접근- 회피 과제(AAT)를 실시한 후, 회피 반응시간과 접근 반응시간에 대한 AAT 지수를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흡연경고자극에 대해 유의하게 회피 편향성이 높았으며, 중립자극에 대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흡연자는 흡연경고자극에 대한 접근편향성이 비흡연자보다 느린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roach-avoidance bias among smokers towards pictorial health warnings. For this purpose, a computer-based Approach-Avoidance Task (AAT) was conducted for smokers (male college students who smoked less than 20 cigarettes per day, n=19) and non-smokers (male college students who smoked less than 5 cigarettes over their entire lives, n=19), and the AAT score was calculated. Results showed that smoker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avoid smoking warning stimuli than non-smok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for neutral stimuli. Smokers also tended to have slower approach bias to smoking warning stimuli than non-smokers. Finally, we present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Mood i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An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Study
양은정(부산대학교) ; 심은정(부산대학교) pp.235-244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atigue, stress, and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mood i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Participants (35) were university students in a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recrui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and from February 2020 to June 2020. They completed a pre-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online survey assessing sleep quality, fatigue, stress, and quality of life. Subsequently,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 14-day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of daily depressive mood, sleep quality, fatigue, stress,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multilevel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fatigu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mood at the within- and between-subject levels, whereas stress and positive affec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nly at the within-subject level. Negative affec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mood either at the within- or between-subject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argeting mediators such as fatigue, stress and affect may alleviate the impact of poor sleep quality on depressive m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신경성 폭식증 고위험 여자대학생의 신경성 폭식증 증상과 우울 증상 간 종단적 상호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중심으로
문하솜(성균관대학교) ; 이수진(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pp.245-257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6
초록보기
초록

신경성 폭식증 증상과 우울 증상은 청소년기와 초기성인기에 공병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두 증상의 양방향적 관련성을 조사하려는 시도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여자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경성 폭식증 증상과 우울 증상이 시간에 따라 서로예측하는 과정을 종단자료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때 신경성 폭식증과 우울장애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여겨지는 부정정서와정서조절곤란을 통제함으로써, 두 증상 간 양방향적 관계를 더 엄격히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 일정 수준 이상의 섭식문제를 경험하고있는 신경성 폭식증 고위험 여자대학생 117명을 표집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해 신경성 폭식증 증상과 우울 증상, 부정정서, 정서조절곤란을 6개월 간격으로 총 3회 측정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분석 결과, 이전 시점의 우울 증상이 6개월 후 시점의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는 부정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였다. 반면, 이전 시점의 신경성 폭식증증상은 이후 시점의 우울 증상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을 논하였다.

Abstract

Although bulimic and depressive symptoms are highly comorbid, their reciprocal association remains unclea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bulimic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subclinical levels of bulimia nervosa. We also incorporated negative affect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common risk factors for both bulimic and depressive symptoms. Participants were 117 female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bulimic symptoms during the initial screening. They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inventories assessing bulimic and depressive symptoms, negative affect, and emotion dysregulation at baseline (T1) and at six-month (T2) and one-year (T3) follow-ups. The results of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indicated that depressive symptoms at T1 and T2 significantly predicted bulimic symptoms at T2 and T3, respectively, controlling for the temporal stability of each symptom, as well as the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emotion dysregulation. Conversely, bulimic symptoms did not predict future depressive symptoms across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pressive symptoms may be a potential target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bulimic symptoms among high-risk females.

불완전감과 강박신념이 강박증상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은주(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임종민(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pp.258-268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불완전감과 강박증상 사이에서 강박신념의 매개효과 및 강박신념과 강박증상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후, 이를 통합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70명(남자 253명, 여자 317명)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안내를 실시한후 강박특질 핵심차원 질문지(OC-TCDQ), 강박신념 질문지(OBQ-44), Padua 강박질문지 워싱턴 주립대학 개정판(PI-WSUR), 마음챙김척도(MS)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고, 수집된 자료 중 결측치가 있는 15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55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 프로그램과 Hayes (2014)가 개발한 PROCESS macro for SPSS v2.11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에서 불완전감은 강박신념과 강박증상과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박신념과 강박증상 사이에도 높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마음챙김과 강박증상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불완전감과강박증상의 관계에서 강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했으며, 강박신념과 강박증상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를 확인했다. 최종적으로 불완전감이 강박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된 강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마음챙김의 어떤 하위 요소가 더욱 효과적인 개입인지 검증한 결과, 현재자각, 주의집중, 탈중심적 주의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탈중심적 주의에서 높은 영향력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완전감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장애의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through obsessive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pleteness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 total of 555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Obsessive-Compulsive Trait Core Domains Questionnaire (OC-TCDQ), Obsessive Beliefs Questionnaire 44 (OBQ-44), the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 (PI-WSUR), and the Mindfulness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its Macro.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indicated that obsessive belief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pleteness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lope analyses reveale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 beliefs and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Third, mindfulnes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pleteness on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through obsessive beliefs. Fi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several factors of mindfulness, present-moment awareness, concentration, and de-centered attention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which is considered useful for future therapeutic interventions.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과 촉발사건이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윤선(대구대학교 심리학과) ; 김근향(대구대학교) pp.269-279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적인 평가 피드백을 받는 좌절상황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반추/인지적 재평가/주의전환)의 처치와 촉발사건의수준이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참가자(114명)는 본인이 작성한 에세이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결과를 받음으로써 좌절상황을 경험하게 되고, 인지적 정서조절방략(반추/인지적 재평가/주의전환), 촉발자극(있음/없음)조건으로 무선 할당된다. 이후 참가자에게 부정적 평가로 좌절을 경험하게 한 다른 참가자(촉발 자극 있음/없음 제공자)가 풀게 될 문제난이도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때 얼마나 많은 고난이도 문제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전위된 공격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의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에서 촉발사건 ‘없음’ 조건보다 촉발사건 ‘있음’ 조건에서 전위된 공격성이 높았고, 반추가 인지적 재평가, 주의전환보다 전위된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사소한 수준의 촉발사건을 경험한 조건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주의전환은 반추보다 더 낮은 수준의 전위된 공격성이 나타나,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과 촉발사건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반추가 인지적 재평가와 주의전환보다 유의하게 높은 전위된 공격성을 보였고, 인지적 재평가와 주의 전환 간에는 전위된 공격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전위된 공격성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rumination, cognitive reappraisal, distraction) and triggering event on displaced aggression. The participants (n=114) was manipulated by providing a fake negative feedback on participant’s own essay regardless of the excellence of their writings. Nex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ment to one of the following groups: rumination, cognitive reappraisal, distraction. Then manipula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iggering event. Finally, displaced aggression was assessed by an opportunity to harm another person’s (given the triggering event) chance to earn money, allowing aggressiveness to be operationalized through the assignment of more difficult problems to another person. ANOVA results of the study (n=81) reveal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riggering event,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riggering event was significant. That is, Participants in the rumination group expressed higher displaced aggression than those in the cognitive reappraisal and distraction groups when they experiencing the triggering ev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reappraisal and distraction group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판 사회불안 안전행동 질문지(SBQ) 타당화 연구
김다혜(충북대학교) ; 안정광(충북대학교) pp.280-298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안전행동을 측정하는 한국판 사회불안 안전행동 질문지를 타당화하였다. 안전행동이란 자신이 두려워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고통을 줄이고, 자신의 불안을 숨기기 위한 행동이다. 안전행동은 치료 효과를 감소시키고, 사회불안을 영속화시킨다. 국내 특성을 반영한 질문지 타당화를 위하여 2020년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인구비례(성별, 연령, 지역)에따라 온라인 패널들을 모집하였다. 교차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무작위 추출된 자료의 절반은 탐색적 요인분석, 또 다른 절반에는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의 2요인(회피, 인상관리)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 안전행동 질문지가 28 문항으로 이루어진 3요인(인상관리, 회피행동, 불안증상 통제)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가 적합하였다. 사회불안 안전행동 질문지의 신뢰도와 수렴 타당도가 우수하였으며, 변별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ROC 곡선 분석 결과 절단점이 34점일 때 민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최대가 되었다. 이에 본 질문지는 사회불안장애 연구 및 임상 장면에서 안전행동을 파악하고 측정하는 데 유용하게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Safety behaviors are forms of avoidance in social anxiety disorder (SAD) and function to reduce pain and conceal anxiety symptoms in social situations perceived as fearful. The use of safety behaviors perpetuates SAD and diminishes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KSBQ), which measures the safety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SAD. A total of 742 online panel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Korean 2020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on half of the randomly selected dat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the remaining half. According to the EFA results, the K-SBQ had a 28-item three-factor (impression management, avoidance behavior, and anxiety-symptoms control) structure. These results differed from the original scale, which had a two-factor structure (avoidance and impression management). As a result of CFA, the three-factor model showed a suitable model fit. The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K-SBQ were good,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adequate. Further, the ROC curve analysis indicated that 34 points appeared appropriate for the K-SBQ cut-off scores.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the K-SBQ could identify and measure the safety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SAD in clinical and research settings.

자녀의 부정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유형과 학령기 아동의 기질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박금진(가천대학교 뇌과학연구원) ; 강지현(동덕여자대학교) pp.299-314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부정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이러한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기질 프로파일과 잠재계층에 대한 아동의 문제행동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5, 6학년의 어머니 76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아동의 기질, 자녀의 부정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해 평가하였다. M plus를 활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자녀의 부정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 잠재계층은 ‘소극적 지지 집단’(97명, 13.44%), ‘평균 지지 집단’(469명, 59.52%), ‘적극적 지지 집단’(203명, 27.05%)으로 분류되었고,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 잠재계층은 ‘비지지-비처벌 집단’(281명, 36.22%), ‘비지지-회피 집단’(382명, 49.5%), ‘비지지-혼란 집단’(106명, 14.28%)으로 분류되었다. 아동의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 기질은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에 대한 잠재계층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아동의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은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에 대한 잠재계층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적극적 지지 집단보다 평균 지지 집단에서, 평균 지지 집단보다 소극적 지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내재화 문제행동은 비지지-비처벌 집단보다 비지지-회피 집단과 비지지-혼란 집단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은 비지지-비처벌 집단, 비지지-회피 집단, 비지지-혼란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적 취약성이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의 수준을 높여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취약한 기질의 아동과 그의 부모에 대한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개입의 방향성을 제공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latent clas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profile affecting the latent class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about the latent clas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recruited 769 mothers of 4th, 5th, and 6th 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is study evaluated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M plus showed that the latent class of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as divided into ‘passive support group’ (97 subjects; 13.44%), ‘average support group’ (469 subjects; 59.52%), and ‘active support group’ (203 subjects; 27.05%). Moreover, the latent class of maternal non-supportive response was divided into ‘non-supportive: non-punishment group’ (281 subjects; 36.22%), ‘non-supportive: avoidance group’ (382 subjects; 49.5%), and ‘non-supportive: confusion group’ (106 subjects; 14.28%). The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temperament of childre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atent class for the maternal supportive reactions, while the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temperament of childre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atent class for maternal non-supportive reactions. Moreover,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verage support group than in the active support group and in the low support group than in the average support group. The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supportive: avoidance group and the nonsupportive: confusion group than in the non-supportive: non-punishment group. The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order of the non-supportive: non-punishment group, the non-supportive: avoidance group, and the non-supportive: confus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revealed that the vulnerability of children’s temperament could negatively affect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by increasing the level of parental non-supportive reactions. As a result, there is a need for preventive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vulnerable temperament and their parents and providing direction for intervention.

아동의 성행동문제에 대한 판단 및 평가와 근거기반치료
최지영(인하대학교) pp.315-329 https://doi.org/10.15842/kjcp.2021.40.3.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성행동문제에 대한 판단기준과 평가, 그리고 치료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의 성행동문제는 그 원인 및 발달 경로에서 아동 후기 및 청소년기에 발견되는 성적 가해 행위나 일탈적 성행동과는 구별된다는 사실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관련 원인 및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제한되어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아동의 성행동과 관련된 실증적 연구는 물론 중재 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문헌들을 중심으로 성행동문제에 대한 고찰연구, 평가와개입 방안에 대한 지침서들, 치료 개입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을 개관한 후 아동과 부모를 돕는 임상 및 상담 현장의 전문가들이 참고할 만한 성행동문제에 대한 평가와 치료에 대한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t is widely accepted that sexual behavior problems (SBPs) in children are distinguished from sexual harassment or deviant sexual behaviors associates with late childhood or adolescence – both in terms of their causes and developmental pathways. However, empirical studies on the factors related to SBPs, along with effective interventions, are limited. In Korea, in particular, there are no empirical studies regarding children's sexual behavior, nor are there any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and intervention in, SBPs. This study reviewed the assessments and interventions for SBPs in children via foreign literature and proposed practical recommendations that can be referred to by clinicians helping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