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3843
Although the severity of dating violence increases, research on dating violence remains scarce and most studies on dating violence focus on reporting demographics of dating violence. Perception of crime influences offender punishment and sentencing, as well as law making, therefore investigating perception of crim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including its severity and frequencies, and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We gave a total of 203 participants scenarios regarding four types of dating violence(control behavior, emotion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evaluated perception of severity and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We conducted independent samples t-test, correlation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s a result,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as considerably severe, and the difference by gender was found only in the severity of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Male respondents evaluated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less severe than female respondents.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differed by gender of respondents: Male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less frequent than female respondents did. Males displayed higher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ttitudes than females. Furthermore, competitive gender differentiation, a sub-factor of hostile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control behavior,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gender was highly related to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emotion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Finally, we discussed pract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ma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김시원, 박 경 (2012).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9(10), 121-141.
김은경, 엄애선 (2010). 가정폭력 목격이 자녀의 데이트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역할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59-777
김재은, 김지현 (2016).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강간통념의 관계. 상담학연구, 17(1), 187-205.
김태규, (2018.10.03.). 작년 데이트 폭력 ‘하루23건꼴’ 발생. 한겨레 뉴스.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864336. html에서 검색
김혜선, 박지선 (2018). 동물학대의 재범방지 및 처벌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성별 및 폭력허용도를 중심으로. 교정연구, 28(3), 51-82.
대검찰청 (2017). 2017 범죄분석. 서울: 대검찰청.
박경은 (2017). 결혼적령기 남성의 심리적 데이트폭력 경험. 상담학연구, 18(4), 409-430.
박경은, 유영권 (2017).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심리내면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711-742.
박순진, (2017). 범죄에 대한 과장된 인식이 범죄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경찰학논총, 12(2), 105-135.
박지선, 박상조 (2013). 언론의 범죄 관련 보도가 대중의 범죄 발생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찰학논총, 8(1), 295-316.
서경현 (2009). 이성관계에서 행해지는 데이트폭력에 관한 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699-727.
서윤정, 박지선 (2013). 양가적 성차별주의 가성범죄 사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7(1), 33-59.
손강숙, 정소미 (2016). 여대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허용도의 관계에서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1(3), 441-457.
손문숙, 조재연 (2016). 데이트폭력 피해 실태조사 결과와 과제. 한국여성의전화, 1-37.
손연우, 권호인 (2018).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파트너 통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549-566.
신지연, 최수미 (2017). 거부민감성, 비대칭 패러다임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533-549.
심정신, 이영숙, 오숙희 (2012).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 및 성폭력허용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8(2), 117-125.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2005). 한국형 양가적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39-66.
오세연, 곽영길 (2011). 데이트폭력의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31, 3-27.
오윤희, 임성문 (2018). 대학생이 지각한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2), 223-245.
우현진, 장숙희, 권호인 (2017).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극복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3), 315-335.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19.
이소영, 박지선 (2017). 가출청소년에 대한 여대생의 인식: 실태조사와의 비교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3), 371-389.
이영숙 (1998). 이성교제 중 발생한 폭력. 대한가정학회지, 36(4), 49-61.
이윤연, 장현아 (2017). 아동기 외상과 데이트폭력 피해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191-209.
이은숙, 강희순 (2014).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지, 20(1), 48-56.
이정은, 현명호, 유제민 (2007). 폭력적 데이트관계 지속에 관한 투자모델의 수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83-995.
임채영, 정소영, 이명신 (2010). 대학생의 폭력인식이 데이트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 147-179.
조무용, 김정인 (2016). 성평등의식과 성차별주의가 스토킹통념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109-134.
조은경 (2003).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1), 1-21.
진경선, 김수연, 정유경, 송현주, 송 민 (2017).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289-313.
최연숙, 이은희, 이은주 (2017).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성고정관념, 폭력인식과 데이트폭력 대처방식과의 관계, 계명간호과학, 21(1), 23-33.
하예지, 서미경 (2014).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79-103.
홍영오 (2017). 성인의 데이트폭력 가해요인, 형사정책연구, 28(2), 321-353.
홍영오, 연성진, 주승희 (2015).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연구: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홍영은, 박지선 (2018).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3), 1-18.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Abrams, D., Viki, G. T., Masser, B., & Bohner, G. (2003).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111-125.
Basow, S. A., Cahill, K. F., Phelan, J. E., Longshore, K., & McGillicuddy-Delisi, A., (2007). Perceptions of relational and physical agg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Effects of gender of perpetrator, target, and perceiver,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1(1), 85-95.
Capezza, N. M., & Arriaga, X. B.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acceptance of psychological aggression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14(6), 612-633.
Fiske, S. T., Xu, J., Cuddy, A. M., & Glick. P. (1999). (Dis)respecting versus (dis)liking: Status and interdependence predict ambivalent stereotypes of competence and warmth. Journal of Social Issues, 55, 473-489.
Glick, P., & Fiske, S.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491-512.
Jackman, M. R. (1994). The velvet glove:Paternalism and conflict in gender, class, and race relation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loyde, S. A., Koval, J. E., & Cate, R. M. (1989). Conflict and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Emerging Social Issues, 126-142.
Makepeace, J. M. (1981)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Family Relations. 30(1), 97-102.
Ronfeldt, H. M., Kimerling. R., & Arias, I. (1998).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 power and the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1), 70-78
Rusbult, C. E., Martz, J. M., & Agnew, C. R. (1998). The investment model scale:measuring commitment level, satisfaction level, quality of alternatives, and investment size. Personal Relationships, 5, 357-391.
Sorenson, S. B., & Taylor, C. A. (2005). Female aggression toward male intimate partners: An examination of social norms in a community based samp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9(1), 78-96.
Stewart. C., Moore. T., Crone, T., DeFreitas, S. C., & Rhatigan, D. (2012). Who Gets Blamed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Perpetrator Sex Category, Victim Confrontation, and Observer Attitud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7(18), 3739-3754.
Straus, M.. A. (2004).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Dating Partners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orldwide. Violence against women, 10(7), 790-811.
Williams, J. E., & Best, D. L. (1990). Cross-cultural research and methodology series, Vol. 6 Measuring sex stereotypes: A multination study. Thousand Oaks, CA, US:Sage Publications, Inc.
Witte, T. H., & Kendra, R. (2010). Risk recognition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5(2), 2199-2216.
Witte. T. H., & Mulla. M. M. (2012). Social norm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situation involving victim infidelit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6(11), 1103-111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Preventing intimate partner and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Taking action and generating evidenc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Xenos, S., & Smith. D (2001). Perception of rape and sexual assault among Australia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6(11), 110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