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비행청소년의 전과 유무에 따른 제반 특성 및 위험 요인 비교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juvenile offenders who re-offend

초록

최근 들어 성인들이 저지르는 범죄의 잔인함을 훨씬 뛰어 넘을 정도로 폭력적인 사건들이 연이어 보도되는 등 청소년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이처럼 범죄를 저지르는 청소년들 가운데에는 전과가 있으면서 반복적으로 재범을 하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 5개 경찰서에 입건된 총 201명의 만 19세 이하 소년범들의 비행촉발요인 조사서, 사건 및 면담 내용 등을 바탕으로, 비행청소년들의 재범 관련 특성 및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청소년범죄의 재범과 관련된 가정, 학교 및 개인적 요인들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전과가 없는 비행청소년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족의 구조나 기능적 역할에 있어 전과가 있는 비행청소년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생계를 책임지는 보호자가 없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으며, 가정불화나 냉담함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차이점이 드러났는데, 전과가 있는 비행청소년들의 경우 전과가 없는 비행청소년들보다 학교를 중퇴하거나 학교에 장기/무단결석을 일삼는 경우가 많고, 학교에서의 경고나 정학 경험 또한 더 많으며, 상급학교 진학 예정은 없고, 비행을 저질러 경찰서에 출입하는 비행 친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출에 있어서도 전과가 있는 비행청소년들의 경우 상습적인 가출 경험이 있고, 가출하여 어울릴 친구들이 있으며, 실제로 가출하여 집단으로 생활해 본 경험이 있는 비율이 전과가 없는 비행청소년들보다 더 높았다. 또한 전과가 있는 비행청소년들이 없는 비행청소년들에 비해 이전 지구대나 경찰서 입건 전력, 소년원 혹은 소년교도소 경력, 보호관찰 위반경력, 대인피해 전력 모두에 있어 더 많았다. 뿐만 아니라 전과가 있는 비행청소년들이 장물처리 등의 비행 수법에 대해 더 잘 알고, 최초 비행연령이 만 10세 이하인 경우가 더 많으며, 비행 전력의 점진적 심각성 또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더불어, 전과가 있는 비행청소년들의 경우 본드나 가스 등을 흡입해 본 경험이 더 많고, 준법 의식이나 어려운 일에 대한 대처 능력이 부재한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고 비행청소년의 재범을 방지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비행청소년 재범 위험성 비행촉발요인 조사서 가족 구조 학교 생활 juvenile offenders criminal history reoffense risk family structure school life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juvenile offenders with and without previous criminal records, to identify risk factors which influence re-offending of juvenile offenders, and eventually to prevent juvenile offenders from committing crime. Based on the results from risk assessment tool for juvenile offender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 between juvenile offenders with and without previous criminal records. Case reports of a total of 201 juvenile offenders who had committed crime in the various areas of Seoul and Yongin were analyzed. As a result, considerabl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of juvenile offenders, in terms of family structure, family functioning, school life, elopement, criminal history, and personal factors.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keywords
비행청소년 재범 위험성 비행촉발요인 조사서 가족 구조 학교 생활 juvenile offenders criminal history reoffense risk family structure school life

참고문헌

1.

고제원․이규호․이민희 (2010). 비행청소년의범죄유형별 PAI 프로파일. 법학연구, 39, 157-176.

2.

김의철․박영신․탁수연 (2010).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 비교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4), 487-508.

3.

김지선 (2007). 청소년범죄의 발생추세와 특성: 1996-2005년. 형사정책, 19(2), 55-86.

4.

김헌수․김현실 (2001). 재범 비행 청소년의예측인지 분석. 신경정신의학회지, 40(2), 279-291.

5.

김희화 (2001). 청소년의 초기 비행과 지속적 비행에 대한 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8(1), 143-162.

6.

노일석 (2009). 청소년 절도사범 재범 예측 요인: 절도 소년보호관찰대상자 재범위험성평가도구(LJP-RRAR)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449-470.

7.

대검찰청 (2013). 2013 범죄 분석. 서울: 대검찰청.

8.

박영신․김의철 (2010). 친구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3), 385-422.

9.

서동혁․정선주․손창호․김원식․고승희․함봉진․조성진․김영기․이중재 (2001). 구속된 비행 청소년들의 석방 후 6개월 이내 재범의 예측요인. 신경정신의학, 40(3), 463-476.

10.

신경민․신윤미․김선영․조선미 (2010). 청소년기 비행 행동의 초기 위험 요인: 6-8년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97-606.

11.

양종국․김충기 (2002), 비행 청소년의 비행위험 요인 및 보호요인과 재비행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0(2), 101-121.

12.

이남희․이봉건 (2009).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에 따른 재범 위험성 차이에 관한 연구-비행촉발요인 조사서와 PAI 검사결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3(2), 127-140.

13.

이동원 (2003). 소년범죄자의 재범특성에 관한고찰: 범행의 발전양상과 재범가능성을중심으로. 형사정책, 15(2), 335-366.

14.

이수정 (2007). 경찰단계에서의 범죄소년 다이버젼을 위한 비행성 평가절차의 재범예측력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1(2), 47-57.

15.

이수정․조은경 (2005). 경찰단계에서의 소년범 위험성 평가를 위한 비행촉발요인 조사도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19(1), 27-43.

16.

이희정․이성칠 (2005),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 심리적 특성: 초범군과 재범군의 비교. 아동학회지, 26(5), 367-377.

17.

정선주․김원식․고승희․구영진․김홍창․서동혁 (1999). 구속된 비행 청소년들의 특성 및 석방 후 6개월간 재범여부와 관련된 변인.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0(2), 201-211.

18.

조윤오 (2012). 소년원 퇴원 후의 재범 유발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2), 79-98.

19.

한기혜․박영신 (2005),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부모자녀관계. 아동교육, 13(1), 95-109.

20.

황진규 (2011). 보호관찰 청소년의 환경요인및 보호관찰 개입과 재범과의 관계성 연구: 비재범자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법정, 2(2), 115-133.

21.

Dembo, R., Turner, G. S., Sue, C., Schmeidler, J., Borden, P., & Manning, D. (1995). Predictors of recidivism to a juvenile assessment center.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s, 30, 1425-1452.

22.

Fergusson, D. M., & Horwood, L. J. (1996). The role of adolescent peer affiliations in the continuity between childhood behavioral adjustment and juvenile offending.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4, 205-221.

23.

Frick, P. J., Cornell, A. H., Bodin, S. D., Dane, H. E., Barry, C. T., & Loney, B. R. (2003).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developmental pathways to severe conduct problems. Developmental Psychology, 39(2), 246-260.

24.

Marquis, P. (1992). Family dysfunction as a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Reports, 71, 468-470.

25.

Morey, L. C. (1991).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