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Continuous line between rape and fornication Reasons why women ‘refused or was silent’ on the surface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make a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debate about ‘rape and for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sexual violence trials which is most controversial between men and women. In this research, we can se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exual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For example, in the case of women wanting sexual behavior but refuse apparently, there was a tendency for men to think ‘manipulation for sexual leadership’, ‘concern of sexual reputation’ as it’s reasons, whereas, women considered ‘lacking of sexual interaction’, ‘prenatal purity consciousness’, ‘realistic problem’ as reasons. Also, women were more likely to think that ‘oppressive sex’ was the reason for being silent when not wanting sexual behavior. This implies that there can be mistakes or misunderstandings in sexual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ason why women was silent although she didn’t want it. The factors were ‘oppressive sex’, ‘considerate sex’, ‘computational sex’, ‘embarrassed sex’. These factors are similar to those classified as agreeable sex, altruistic sex, conforming sex, rape and else on the continuous line between rape and fornication presented by Bart (1983). In other words, ‘oppressive’ can be seen as ‘rape’, ‘considerate sex’ as ‘altruistic sex’ and ‘computational sex’ as ‘conforming sex’.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not clearly verified that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variable was sex in recognizing sexual behavior between rape and fornication in previous research

keywords
강간, 화간, 여성의 동의, 여성의 성적 의사소통, 여성의 거절 또는 침묵, Rape, fornication, women's consent, female sexual communication, female rejection or silence

Reference

1.

김상준 (2013). 무죄판결과 법관의 사실인정에관한 연구: 항소심의 파기자판 사례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박사학위논문.

2.

김선영 (1988). 강간에 대한 통념의 수용에 관한연구: 경찰, 의사, 교사, 법조인, 상담원, 언론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영희, 문승태, 강희순 (2013).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66-175.

4.

박명숙, 한인영, 유서구 (2008). 성폭력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관점을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16(2), 123-146.

5.

박선미 (1989). 여성학적 관점에서 본 강간범죄의 재판과정. 형사정책 제4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89-316.

6.

박선미, 송원영 (2012). 성폭력에 대한 통념과성관련 경험이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2), 265-280.

7.

박지선, 김정희 (2011).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경찰의 인식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학연구, 19(2), 한국피해자학회, 77-96.

8.

변혜정 (2003). ‘성폭력’ 피해구성과 그 의미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심영희 (1989). 성폭력의 실태와 법적 통제 한국여성학 제5집, 122-160.

10.

양동옥 (2015). 성행동 상황에서 여성의 거절이유 평가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2), 205-224.

11.

여성가족부 (2010). 2010년 성폭력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2.

유외숙 (2004). 이성교제에서 원하지 않는 성관계 요구의 응낙에 대한 설명모형: 대학생중심으로. 서울여대 특수심리치료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13.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의 차이:강간통념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1(1), 1-19.

14.

이명신 (2014). 성희롱(Sexual Harassment)의 재정의: 남녀대학생의 강간통념, 성희롱 인식, 성적 괴롭힘 행동을 중심으로 경험적재구성. 젠더와 문화, 7(1), 43-97.

15.

이영란, 김경미, 최소은 (2013).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인식 수준 및 영향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1), 40-50.

16.

이정원, 안상수, 김혜숙 (2017).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관련정책 및 강간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7.

장순복 (1998). 기혼여성의 성만족. 대한간호학회지, 28(1), 201-209.

18.

정은경 (2017). 성폭력 피해여성의 무고피소경험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명현 (2004).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최인철, 진정희 (2002). 양가적 성차별주의가성희롱 사건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술진흥재단, 409-410.

21.

허민숙 (2016). 성폭력 무고의 재해석. 한국여성학, 32(2), 1-29.

22.

Impett, E. A., & Peplau, L. A. (2003). Sexual compliance: Gender, motivational, and relationship perspectives. The Journal of Sex Research, 40, 87-100.

23.

Morokoff, P. J., Quina, K., Harlow, L. L., Whitmire, L., Grimley, D. M., Gibson, P. R., et al. (1997). Sexual assertiveness scale for wom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790-804.

24.

Muehlenhard, C. L. (2011). Examining stereotypes about token resistance to sex, Psychology of Women Quantery, 35, 676-683.

25.

Muehlenhard, C. L., & Hollabaugh, L. C. (1988). Do women sometimes say no when they mean yes?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women’s token resistance to sex,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 872-87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