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8778
This study focused on shelf-life labeling standards which are reflected in quality, safety and freshness of foods, medicines and cosmetic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consumers interpret the meaning of shelf-lif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Sell by date, Use by date, Best before or Date of minimum durability and to reveal various reasons of those interpretations. Above all, we reviewed current laws on shelf-life labeling standards to investigate problems in the aspects of institutional system. And then, we explored the how and the why of dealing with expired products, the reason of causing product to expire, and the meaning of shelf-life labeling standards from consumer's standpoint. Using group depth interview with university students and housewive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Most of respondents expressed shelf-life period about all kinds of products as ‘Sell by Date’ and misinterpret ‘Sell by Date’ as ‘Use by Date’ or ‘Expiration Date’. They strictly interpreted shelf-life period of foods and medical preparations and threw them out despite eatables. Contrarily, they were generous in the interpretation of shelf-life period of OTC medicines and cosmetics. In particular, the aged housewives(over 65 years) were overly generous in the interpretation of shelf-life period of all products. Finally, we discussed suggestions toward institutional improvements, consumer education of shelf-life dating system.
강창경 (2011). 화장품법 개정과 광고실증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 25호.
고은경, 여정성 (2007). 식품 등이 표시기준의 소비자 지향적 개선방안 연구, 소비자학연구, 18(2), 1-20.
구민선, 김윤숙, 신동빈, 오세욱, 전향숙 (2007).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김밥 및 샌드위치의 냉장조건에서의 유통기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2(4), 323-331.
김규동, 이정윤 (2010). 주부들의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 및 정보요구도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3), 392-298.
김창남 (1995). 식품의 유통기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 국민영양, 11, 41-45.
김철민 (2010). 환타지 소설 읽기의 심리적 경험: 몰입 이유, 경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1(3), 475- 503.
김철민, 유승엽 (2000). N세대의 광고경험과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 65-88.
김향숙, 백수진, 이경애 (1999).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이용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4), 948-953.
문상덕 (2007). 식품위생법상 유통기한제도의 법정책적 고찰. 공법학연구, 8(3), 463-495.
박지용 (2007). Food Self Life, Food Law Forum 프리젠테이션 자료, 2007년 1월 6일.
송시연, 김영조 (2011). 자아조절자원이 유통기한 제품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4), 737-749.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식품 등의 표시기준, 식약청고시 제2007-3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식품유통기한 설정 실험(위해기준팀), 제 7회 시험법연구회 세미나 자료(3월 6일).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식품관련 소비자불만(사고) 사례 연구.
양 윤, 김은숙 (2008). 성향 및 상황 조절초점과 과제수행 피드백이 소비자 감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9(3), 407-433.
여정성 (2006). 표시규제 선진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공정거래위원회.
이경애, 김향숙 (2001). 유통기한 및 원재료명 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도 및 선호도, 한국조리과학회지, 17(4), 405-411.
임정미 (2003). 국내 우유류의 유통기한 자율화에 따른 현황,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지, 21(2), 120-124.
최미희, 윤수진, 안영순, 서갑종, 박기환, 김건희 (2010).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10), 1555-1564.
최정숙, 전혜경, 황대용, 남희정 (2005).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 우려의 관련 요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1), 66-74.
최정숙, 전혜경, 황대용, 남희정 (2005).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1), 66- 74.
통계청 (2012). 2011년 4/4분기 및 연간 가계 동향, www.kostat.go.kr.
하영선, 김종경, 박인식 (1998). 포장식품의 유통기한 표시기법에 대한 소비자 심리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5(4), 392-395.
한국소비자원 (2008). 의약품 부작용 실태조사(정책연구본부 거래조사 연구팀).
한국소비자원 (2009). 유통기한 경과 식품의 섭취 적정성 조사 결과보고서.
한국소비자원 (2010). OTC 의약품 판매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 10-11.
Higgins, E. T.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0, 1-46.
Sen, S. & Block, L. G. (2009). Why my mother never threw anything out: The effect of product freshness on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 47-55.
Kahneman, D. & Tversky, A.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263-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