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ISSN : 1229-8778
본 연구는 시민들의 탄소 중립에 대한 평가를 높이는 방안으로 소셜 미디어 챌린지 참여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소셜 미디어는 MZ 세대의 대표적인 매체로 실시간 상호작용과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라는 강점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중 틱톡(TikTok) 어플을 통한 탄소 중립 캠페인 참여가 사람들의 인식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틱톡 챌린지 참여 조건의 참가자는 비참여 조건의 참가자에 비해 탄소 중립에 대한 평가가 높았으며(가설 1), 탄소 중립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틱톡 챌린지 태도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가설 2). 끝으로 캠페인 참여의 효과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정부 신뢰를 확인한 결과 정부 신뢰는 틱톡 챌린지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탄소 중립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는 요인임을 조절된 매개모형의 검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가설 3).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전 지구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환경 보호를 위해 탄소 중립 정책을 홍보하면서 소셜 미디어 캠페인 참여가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media in promoting and participating in campaigns used to increase citizens’ evaluation of carbon-neutral policies. Social media is a representative medium of the MZ generation and has the strength of real-time interaction and free exchange of opinion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carbon neutral campaign on improving people’s perception on TikTok among social medi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in the TikTok challenge had a higher evaluation of carbon neutrality than those in the non-participating condition (Hypothesis 1), and that th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carbon neutrality was mediated by the TikTok challenge attitude (Hypothesis 2). Finall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as a way to support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he campaig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 that government trust can function as a supportive way to raise awareness even for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TikTok Challenge (Hypothesis 3).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media campaigns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in promoting carbon-neutral policies to protect the environment, which is an important global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