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한국 해산 물레고둥상과 , 홍줄고둥상과 및 감생이고둥상과 ( 연체동물문 : 복족강 ) 의 분류
최병래(성균관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제종길(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정혜승(성균관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pp.93-122
초록보기
초록

1963년 5월부터 1993년8월에 걸쳐 한국 해역 99개 지점에서 채집된 물레고둥상과, 홍줄고둥 상과 및 감생이고둥상과의 표본 3713개체를 동정, 정리하고, 문헌들을 검토하여 9과 97종 9아종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채집된57종과 4종에 대하여는 외부 형태의 도판을 작성하였으며, 과거 기재가 없었거나 불충분하였던 물레고둥 상과에 속하는 Zafra mitriformis, Nassarius (Hima) pauperus, Plicifusus plicatus, Phos varicosus, Microfusus acutispirata, Siphonalia modificata, Buccinum opisoplectum, Muccinum polare, Latirulus nagasakiensis, Granulifusus niponicus 및 홍준고둥 상과에 속하는 Lyria(Lyria)acssidula, Olivella(Olivella)ulgurata, Psephaea kaneko를 재기재하였다. 이 중 Z. mitriformis, P. varicosus, G. niponicus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Abstract

산민달팽이 ( Incilaria fruhstorferi ) 의 자성 생식기관의 형태 및 조직화학적 연구
Chang, Nam-Sub(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Mokwon University) ; Jeong, Kye-Heon(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Soonchunghyang University) pp.123-134
초록보기
초록

한국산 산민달팽이 (Incilaria fruhstorferi)의 자성 생식기관을 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부민선(albumen gland)은 대자웅동체관 위에 있으며, 산성 점액다당류와 중성 점액다당류 그리고 단백질성 분비물을 형성하는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수정실(fertilization chamber)을 구성하는 내강 상피는 불규칙한 단층섬모원주상피와 위중층섬모원주상피세포가 3대 1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조직에서 형성된 산성점액다다류성 과립들이 상피세포를 거쳐 내강 속으로 분비되었다. 또한 수정실의 외측표면은 기능은 알 수 없으나 산성 점액다당류를 분비하는 대형 세포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 수란관(oviduct)의 내강은 크로 작은 돌기로 인해 별모양을 나타내었다. 내강은 위중층원주상피세포로 구성되었으며 그들 사이에서 분비세포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질(vagina)의내강은 덮은 세포는 해면조직 형태의 세포와 단층섬모원주상피세포 그리고 위중층섬모원주상피세포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잘 발달된 두터운 근육층은 질의 신축성을 높여 주었다. 정자낭(spermatheca)은 그 형태와 크기, 색깔 등이 종에 따라 다양하고, 질과 연결되는 자성생식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Abstract

한국산 산민달팽이 ( Incilaria fruhstorferi ) 전촉각의 형태 및 조직화학적 연구
김영언(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물학과) ; 장남섭(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물학과) pp.135-14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 morphological andk histochimical study on the amterior tintacular antenna of Korean sulg, Incilaria fruhstorferi was conducted under the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histological sturctures of the antenna were apparently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the epithelium, the connective tissues and the muscular layers. The cells forming the antenna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on the basis of their morphological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simple columnar epithelium cotering the whole antenna was composed of supporting cells, sensory neurons and type-a clear cells. The connective tissue was consisted of dispersed large cells, type-b clear cells and 7 types of secretory cills such as type-A, type-B, type-F, thpe-G, type-H, type-J and type-K. The large cells found in the form of group situated only in the stalk of the antenna. The large cells possessed relatively small nuclei as compared with their cytoplasm. The cytoplasm positively reacted upon alcian blue, and the nucleus was PASpositive. The type-a and type-b clear cells which were irregular in shape showed no evident reaction against various stain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The secrtory cells were observed mainly in the connective tissues and in the muscular layers. Histochemical components of the type-A, type-B and K were identified as acid mucopolysaccharides and those of type-F and H were neutral mucopolysaccharides. The muscular layders supporting the epithelium possessed the type-B and F secretory cells which were also observed in the connective tissues.

담수산 석패와 7종의 발생시기에 관한 연구
박갑만(강원대학교 자연대학 생물학과) ; 권오길(강원대학교 자연대학 생물학과) pp.147-16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unionid family Unionidae contains several genera in Korea, among which occru considerable variations in life histories and sexual conditions. Seven species from the Korea(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Unio douglaseae, U. douglasiae sinuolatu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 acrorhyncha, Solenaia triangularis)were stueide in order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seasonal gonadal activity and the visceral sex. The gonads of seven species were histologically examined by using the paraffin block technique for sectioning. All seven species were uniformly dioecious and testicular activity in six species except one species, S. triangularis, generated sperm-morulae(multinucleated cell).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seven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multicative, growing, mature, spent, deginerative and resting stages. The breeding season of six species was the summer and that of A. a. flavotincta was the winter.

강굴, Crassostrea rivularis 의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유성규(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강경호(국립수산진흥원 포항수산종묘배양장) pp.165-170
초록보기
초록

강굴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과 염분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TEX>$^{\circ}C$</TEX>)에 따른 발생속도(h, 시간)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D형 유생: 1/h= 0.0017T-0.0033(r=0.9882)초기 각정기 유생:1/h= 0.0003T-0.0044(r=0.9496)후기 각정기 유생:1/h= 0.0002T-0.0028(r=0.9918)성숙유생:1/h= 0.0001T-0.0011(r=0.9997)2. 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10.4<TEX>$^{\circ}C$</TEX>였다.3. 강굴의 난발생이 가능한 하한 및 상한 염분농도는 10<TEX>$\textperthousand$</TEX>와 37<TEX>$\textperthousand$</TEX>였다.

Abstract

한국산 Semisulcospira속 ( 다슬기과 : 복족강 ) 패류 5종의 동위효소 변이
김재진(배재대학교 생물학과) pp.171-179
초록보기
초록

한국산 다슬기류의 종별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고 계통분류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슬기속(Simisulcospira)에 속하는 다슬기(S. libertina),주름다슬기,(S. forticosta), 곳체다슬기(S. gottschei), 좀주름다슬기(S. tegulata)및 참다슬기(S. coreana)등 5종을 전국 각지에서 채집하여 전기영동(starch gelelectrophoresis)를 이용해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용약하면 아래와 같다. 유전적 다형형의 빈도는 58%에서 83%로 대단히 높았고 이형접합자의 평균 빈도도 50%내외였다. Rogers' D를 근거로 한 각 종간 유연관계는 주름다슬기와 곳체다슬기가 근연관계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 두 군과 다슬기는 유전적으로 거리를 두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각의 형채와 비교할 때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