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내 신경근연접의 미세구조
장남섭(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물학과) ; 한종민(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물학과) ; 황선종(충북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pp.75-83
초록보기
초록

아프리키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mantle edge) 내 근육 속의 신경근연접에 관한 미세구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경근연접종말의 형태는 방추형이거나 불규칙형이었으며, 연접막과 근형질막상이 연접간극(synaptic cleft)의 넓이는 30mm 정도로 나타났다. 연접강속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직경 100mm)과 중등도는 과립(직경 70mm)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소포(직경70mm)등 3종류가 관찰되었으며, 연접종말의 외측에는 0.2 - 0.4<TEX>$\mu\textrm{m}$</TEX> 정도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들이 존재하였다.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둥근 과립 중 일부는 연접막 밖으로 배출(exocytosis) 되었으며, 근형질막과 연접막이 합체되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근형질(sarcoplasm)내에서 수축성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섬유의 배열은 불규칙하였으며, 세포질성 치밀체(cytoplasmic dense body)도 관찰되었다.

Abstract

Biomphalaria glabrata와 Indoplanorbis exustus 충란에 대한 Brassaia actinophylla 추출물과 Niclosamide의 아치사 처리
Wangsomnuk, P.(Department of Biology, Faculty of Science, Khon Kaen University) ; Kruatrachue, M.(Department of Biology, Faculty of Science, Mahidol University) ; Upatham, E.S.(Department of Biology, Faculty of Science, Mahidol University) pp.85-90
초록보기
초록

Biomphalaria glabrata와 Indoplanorbis exustus의 알에 대한 식물성 살패제 Brassaia actinophylla (Araliaceae)의 메탄올 추출물을 아치사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B. actinophylla를 10 mg/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두 종류의 패류의 배(embryo)에서 모두 변화를 보였다. Niclosamide를 0.004mg/1로 처리하였을 경우 역시 B. glabrata와 I. exustus의 배 발생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B. actinophylla는 주혈흡충증의 중간숙주는 패류 관리에 있어 세포치사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plant molluscicide, Brassaia actinophylla (Araliaceae) had been assessed on development of eggs f snails, Biomphalaria glabrata and Indoplanorbis exustus at sublethal concentrations. Results reveal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10mg/l of B. actionophylla caused some alterations in embryos of both species. Niclosamide (0.004 mg/l) also arrested the development of embryos in B. glabrata ans I. exustus. It can be concluded that B. actinophylla has a potential use as an avicidal agent in the control of the snail intermediate hosts of schistosomiasis.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Lischke의 성성숙에 관한 연구
이주하(전주대학교 이공대학 생명과학부) pp.91-102
초록보기
초록

새꼬막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었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에서부터 족부까지 외측의 대부분을 싸고 있으며, 난소는 난자형성소낭, 정소는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완숙란의 세포질에는 많은 난황과립을 축적하고 있으며, 난막의 외측은 얇은 젤라틴상의 피막으로 싸여 있었다. 정자형성소낭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변태한 정자 순으로, 소낭의 내강을 향하여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 발달되었다.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1-5월), 후기 활성기(5-7월), 완숙기(6-9월), 부분 방출기(7-9월), 방출 및 비활성기(9-4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방란, 방정은 수온이 21<TEX>$^{\circ}C$</TEX> 이상으로 상승하는 7월초순부터 9월까지 지속되며, 산란 최성기는 8월이었다.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와 아주 밀접ㅎ나 관계가 있었다.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에는 eosin에 강하게 염색되는 과립세포와 간충직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되었다.

Abstract

참굴에서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축정성과 생화학적 변화I: Fluoranthene을 model 물질로 한 연구
서영호(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정의영(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김강전(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임완수(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김희연(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류동기(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최선남(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황인영(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김정상(인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pp.103-111
초록보기
초록

참굴에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축적성과 이 물질들이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양환경에서 빈번히 검출되는 PAHs 중의 하나인 fluoranthene을 사용한 모델연구를 수행하였다. Fluoranthene을 0.01-1ppm의 농도로 2주간 참굴에 노출시켰을 때 참굴 조직내의 fluoranthene의 농도는 노출기간 및 노출농도에 비례하여 최고 40-70배까지 증가하였다. 소화맹낭과 폐각근의 지질 과산화물가는 노출기간 및 노출농도에 관련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수용성단백질의 함량은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glycogen 함량, nucleoside/nucleotide, DNA 및 RNA 함량은 변화하지 않았다. 이 결과로 fluoranthene은 굴의 조직내로 원활하게 축적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산화지질의 함량은 fluoranthene에의 오염에 대해 신속히 반응하는 지표의 하나로 추정되며 수용성단백질의 감소도 비록 시간적으로 다소 둔감하기는 하나 또 다른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참굴에서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축적성과 생화학적 변화II: Anthracene을 model 물질로 한 연구
서영호(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정의영(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김강전(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배주현(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류동기(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황인영(인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김정상(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박관하(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pp.113-120
초록보기
초록

참굴에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축적성과 이 물질들이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양환경에서 빈번히 검출되는 PAHs 중의 하나인 anthracene을 사용한 모델연구를 수행하였다. Anthracene을 0.01-1ppm의 농도로 2주간 참굴에 노출시켰을 때 참굴 조직내의 anthracene의 농도는 노출기간 및 노출강도에 비례하여 최고 25-85배까지 증가하였다. 소화맹낭과 폐각근의 지질 과산화물가는 노출기간 및 노출농도에 관련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수용성단백질, glycogen, nucleoside/nucleotide 및 핵산의 함량은 변화하지 않았다. 이 결과로 anthracene은 굴의 조직내로 원할하게 축적됨을 확인하였으며 과산화지질의 함량은 anthracene에의 오염에 대한 예민한 생화학적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목포 주변 해역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종밋
임현식(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박경양(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pp.121-13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growth of the mud mussel, Musculista senhousia, were carried out in the mud-tidal flat near Mokpo from August 1996 to July 1997. The patch distribution of the mussel was observed in the middle part of the tidalflat during the study period. Annual mean density was 8,215<TEX>${\pm}$</TEX>1,394 ind./m2 and annual mean biomass was 1,966.43<TEX>${\pm}$</TEX>668.49 g TWwt/m2 in total wet weight, 760.04<TEX>${\pm}$</TEX>279.13 gMWwt/m2 in meat wet weight, 209.93 <TEX>${\pm}$</TEX> 49.41 gMDwt/m2 in meat dry weight, and 109.66<TEX>${\pm}$</TEX>58.78 gAFDW/m2 in ash-free dry weight. The monthly mean size of shell length varied from 11.00 mm to 16.97 mm.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showed a positively significant regression (SH=0.482SL+0.791, R2=0.940, P<0.001). Regressions of total wet weight (TWwt) (TWwt=7.601<TEX>${\times}$</TEX>10-5SL3.052, R2=0.905, P<0.001), and meat wet weight (MWwt) (MWwt=1.127<TEX>${\times}$</TEX>10-5<TEX>${\times}$</TEX>SL3.404, R2=0.784, P<0.001) on shell length were positively allometric, with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SL and meat dry weight (MDwt), and AFDW were MDwt=9.813<TEX>${\times}$</TEX>10-6<TEX>${\times}$</TEX>SL2.928 (R2=0.421), and AFDW=1.015<TEX>${\times}$</TEX>10-5<TEX>${\times}$</TEX>SL2.922(R2=0.810), respectively. The condition factor of the mussel has been increased from March and formed a peak in July and August. It was sharply dropped in Septemb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onadal development of the species commenced to be occurred in spring and that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동양달팽이의 소화관에 대한 조직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정계헌(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용석(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pp.131-14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 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pithelia of some selected digestive tracks such as esophagus, crop, intestine of a land snail N. samarangae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of June 1997 to may 1998. The epithelium of digestive tract are simple columnar epithelium and consisted of five types of columnar cells. Type 1 cell which is majority in number has a brush border with microvilli on the free surface of the cell and contains numerous secretory granules supposed to be neutral mucopolysaccharide. Type 2 cell, elongated conical in shape, is rarely found in the epithelium. This cell also has a brush border with microvilli on its free surface and contains well developed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Golgi bodies, and secretory granules in various electron densities. This cell seems to produce both of acid and neutral mucopolysaccharides. Type 3 cell, which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the Type 1 cell, has microvilli and cilia on the free surface and exists in group only in the limited regions of the intestine. Type 4 cell, typical goblet cell containing secretory granules in high electron density. Type 5 cell rarely found in the digestive tract. This cell contain inconspicuous materials.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소화관에서의 cellulase 활성에 대한 세포화학적 및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정계헌(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용석(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김은정(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pp.149-15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order to observe the anticellulolytic localization in the epithelia of the digestive tract such as esophagus, crop, and intestine of a Korean land snail N. samarangae, a cytochemical method and a immunogold labelling method were applied. For the 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Benedict reaction method applied. And for the immunocytochemical study, the rabbit serum immunoglobuins (IgG) was obtained from the rabbits injected with cellulase which was extracted from body fluid of the snail. The digestive tract tissues of N. samarangae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2% OsO4 and embedded in Lowicryl K4M at -40<TEX>$^{\circ}C$</TEX> under UV light (360 nm). The thin sections were loaded on the nickel grids and stained with the serum IgG and protein A-gold complex (particle size: 10 nm). Observations were undertaken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ol, JEM-1010). The epithelium of the digestive tract was consisted of five types of cells. In the cytochemical study, the reaction products were foun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acuoles derived from the Bebedict reaction. In the immunocytochemical study, the protein-A gold particles were selectively labelled in Type 1, Type 3 and Type 4 cells in intestinal tissue. membranes of rER, in the surrounding cytoplasm of the rER and secretory granules, and in the apical cytoplasm of the cells. On the material being secreted from the apical cytoplasm was also labelled with the immunogold particles. The all results obtained throughtout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intestinal epithelium of the snail N. samarangae seretes cellulase as one of digestive enzymes.

한강 하류의 패류 분포상
김재진(배재대학교 생물학과) pp.161-16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Mollusks were collected with Ponar grab from seven stations in lower part of Han river, Korea from June 1995 through May 1996. Basket sampler with artificial substrate was also employed to collect the adhesive mollusks. In addition to above mentioned sampling stations, Bam islet was surveyed. A total of species, Corbicula fluminea, Anodonta woodiana, Unio douglasiae, Limnoperna fortunei, corbicula fenouilliana and Physa acuta, were collected in lower part of Han river.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s on the ecological survey of molluscan fauna in Han river.

새만금호의 수질예측과 그에 따른 대책 3. 환경오염이 담수산 미세조류, Cryptomonas ovata의 증식과 참재첩(Corbicula leana) 섭이율에 미치는 영향
최문술(군산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정의영(군산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신윤경(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pp.167-17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s a preliminary study, effects of environmetal pollutants on propagation of freshwater microalgae, Cryptomonas ovata and feeding rate of Corbicula leana were investigated at 20<TEX>${\pm}$</TEX>1<TEX>$^{\circ}C$</TEX>, over 20 days after treatment of pollutants, glucose, complex fertilizer and NH4Cl. Number of C. ovata in control group was increased from 38<TEX>${\times}$</TEX>104 cell/ml to 1.910<TEX>${\times}$</TEX>104 cell/ml after 20 days cultivation in Sorokin-Krauss medium. Increments of cell number in experimental groups treated with glucose, complex fertilizer and NH4Cl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higher propagation rate of C.ovata was observed when 30 mg/l of glucose treated, 120 mg/l of complex fertilizer treated, and 4 mg/l of NH4Cl treated, compared with other concentrations in each pollutant treated group. The feeding rates of large size group of C. leana which fed with a living organism, C. ovata in each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small size group, and slightly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pollutant concentrations. The feeding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y concentrations of the pollutant, and among experimental groups treated with glucose, complex fertilizer and NH4Cl.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