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소 발달 단계에 따른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 변화

Changes in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Relation to Gonad Developmental Phases

초록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기구를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생식주기는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되었고,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 내의 생화학 성분들은 생화학적 분석방법에 의해 조사되었다. 바지락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8월), 부분산란기 (5-10월), 퇴화/비활성기 (8-2월)의 연속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폐각근 조직내 총단백질 함량 (%) 변화는 초기 및 후기 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다음 완숙기 및 부분활성기인 5월에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단백질 함량 변화는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6월에 최대에 이른 후 부분산란기인 6월부터 10월까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단백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 -0.292, P < 0.05). 폐각근 조직 내 총지질 함량 (%) 변화는 비활성기 및 초기활성기인 1월에 최대에 이른 후, 2월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지질 함량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4월에 최대를 나타내었고, 부분산란기인 5-10 월 사이에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지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699, p < 0.05). 폐각근 조직내 글리코겐 함량 (%)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5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부분산란기인 5월부터 10월까지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글리코겐 함량 변화는 초기 및 후기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후기활성기인 3월에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그 후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4월에서 7월까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글리코겐 함량 변화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062, p > 0.05). 상기 언급된 결과들은 바지락의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uditapes philippinarum, Reproductive Cycle, Biochemical Composition., Ruditapes philippinarum, Reproductive Cycle, Biochemical Composition.

Abstract

Reproductive cycle with the gonadal development of Ruditapes philippinarum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February to May),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May to Octo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February). Changes in total protei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early and late active stages (February) and appeared the minimum in the ripe and partially spawned stages (May), while changes in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ripe and partially spawned stages (June) and gradually decreased in the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October). On the whole, changes in total protein cont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r = -0.292, p < 0.05). Changes in total lipid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inactive and early active stages (January) and sharply decreased in the early and late active stages (February), while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ripe and partially spawned stages (April) and gradually decreased in the partially spawned stage (to October). On the whole, changes in total lipid cont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r = -0.699, p<0.05). Changes in glycoge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late active and ripe stages (April) and rapidly decreased in the partially spawned stage (May to October), while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early and late active stages (February) and rapidly decreased in the late active stage (March). Thereafter, their levels gradually increased in the ripe and partially spawned stages (April to July). On the whole, changes in glycogen contents appeared no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r = 0.062,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are an important energy storage and nutrient supply organ in the Manila clams, and the nutrient contents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uscle tissues change in response to gonadal energy needs.

keywords
Ruditapes philippinarum, Reproductive Cycle, Biochemical Composi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