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3480
아산시에 분포하는 담수산 연체동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부터 2000년 8월까지 101지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채집된 담수산 패류는 2 강 5 목 12 과 27 종이었으며 이중 복족류는 3 목 10 과 18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9 종이었다. 온양천 수계는 19개 지점에서 2 강 5 목 11 과 21 종이 채집되었고 복족류는 3 목 9 과 17 종, 이매패류는 2 목 2 과 4 종이 채집되었다. 이곳 수계에 우점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종은 물달팽이, 왼돌이물달팽이, 논우렁이와 주머니알다슬기였다. 곡교천 수계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1 과 20 종이며 복족류는 3 목 9 과 15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5 종이 채집되었다. 이곳 수계에서 흔히 분포하고 있는 종은 물달팽이, 수정또아리물달팽이, 애기물달팽이, 그리고 논우렁이 순이었다. 삽교호 수계 32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1 과 26 종이었으며 복족류는 3 목 9 과 17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9 종이었다. 이곳 수계의 우점종은 물달팽이, 논우렁이, 또아리물달팽이 순이었다. 아산호 수계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2 과 21 종이었으며, 복족류는 3 목 10 과 17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4 종이었다. 이곳 수계의 우점종은 논우렁이, 애기물달팽이, 물달팽이, 또아리물달팽이 순이었다. 서식환경별로 살펴보면 논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던 종은 긴애기물달팽이, 배꼽또아리물달팽이, 왼돌이물달팽이였으며 하천에서는 물달팽이와 왼돌이물달팽이가 그리고 수정또아리물달팽이가 주로 나타났고, 저수지에서는 논우렁이와 물달팽이, 애기물달팽이, 긴애기물달팽이가 나타났다. 또한 호수에서는 논우렁이, 또아리물달팽이, 큰논우렁이, 물달팽이 순으로 나타났다. 대칭이, 작은대칭이, 펄조개는 저질이 니질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고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특히 삽교호 수계 채집된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의 저질에서 출현하였다.
In order to understand freshwater molluscan fauna in As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watersheds of this area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1999 to August 2000. For the purpose of easy overlook of the molluscan fauna in Asan area, present survey was undertaken on a total of 101 sampling sites of 4 major watersheds connected along Onyang River, Gokgyo River, Sapgyo Lake, and Asan Lake. The collected freshwater mollusks were analysed based on the environment of their habitats. The freshwater mollusks collected through out the present survey were 27 species, 12 families, 5 orders, and 2 classes. Of these, gastropods were 18 species, 10 families, 3 orders; and bivalves were 9 species, 2 families, and 2 orders. The dominant gastropods in this area were Radix auricularia coreana,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Hippeutis cantori, Physa acuta, Gyraulus convexiusculus and Austropeplea ollula and the dominant bivalves were Anodonta arcaeformis,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and Anodonta woodiana. Dominant species in rice fields were Fossaria truncatula, Segmentina hemisphaerula and Physa acuta, dominant species in rivers were Radix auricularia coreana, Physa acuta, and Hippeutis cantori. Dominant species in reservoirs were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adix auricularia coreana, Austropeplea ollula, and Fossaria truncatula. Dominant species collected in lakes were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Hippeutis cantori, Cipangopaludina japonica, and Radix auricularia coreana. Radix auricularia coreana,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and Austropeplea ollula were dominantly inhabiting on the muddy bottoms. Anodonta woodiana, Cipangopaludina japonica, and Corbicula fluminea occurred mainly in the gravel areas. Radix auricularia coreana,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and Hippeutis cantori were dominant in the muddy rock areas. Rock-dominant species were Radix auricularia coreana, Semisulcospira forticosta and Koreanomelania paucicincta. Sand-dominant species were Physa acuta, Radix auricularia coreana, and Hippeutis cantori. Sand gravel-dominant species were Physa acuta, Radix auricularia coreana, and oreanomelania paucicincta. Hippeutis cantori,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and Gyraulus convexiusculus occurred in the sand-muddy areas. Cristaria plicata, appointed as an endangered specie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Law", was collected from 5 sampling sites (site Nos. 45, 47, 48, and 52). For the endangered species found in this survey should be make appropriate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