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5-3480
키조개 양식은 근래에는 오염과 자연산 모패의 남획 등으로 점차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어 이들의 양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의 성성숙 조절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의 비만도와 생식소 및 유생의 발달단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키조개 모패로부터 인공종묘생산을 시도하였다. 키조개의 비만도를 살펴보면 어미의 연체부 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5월 중순부터 전 실험구가 먹이생물을 매우 활발히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실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부 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키조개 생식소의 성숙 발달단계는 비 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은 후기활성기로 판단되며, 시험 종료시에는 전 시험구가 완숙기와 방출기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3 종, Chlorella ellipsoidea, Tetraselmis tetrathele, Pheasant ylum tricornutum과 키조개 성성숙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키조개 암, 수 모두 Tet. 실험구에서 조직학적으로 빠른 성숙을 나타냈으며, 성성숙 유도율과 생존율 또한 Tet. 실험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Tetraselmis tetrathele가 키조개 어미사육에서 매우 유용한 먹이생물로 판단되었다. 자연 상태의 키조개 어미로는 인공종묘생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성숙실험한 키조개 어미로부터는 5 회의 채란기간 중 반응이 있었고, D형 유생이 정상적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나 키조개는 실내 인공성숙관리에 의해 채란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키조개 유생을 사육한 결과, I. galbana, Chaetoceros sp., P. lutheri 및 혼합구 전 실험구에서 실험 시작 3-5일 사이에 생존율이 매우 낮아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 어미 인공사육관리에 의한 인공종묘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키조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생사육 및 치패 생산에 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 할 수 있다.
We investigated the degree of obesity, histological development stages of gonads and sexual maturation induction rates of comb pen shell, Atrina pectinata, per the type of micro-algae supplied. Terms of maturation by singular or mixed supply of microalgae, it was found that maturation of the female was the quickest at 60.0% by the Tetraselmis tetrathel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57.1% by the Chlorella ellipsoidea (Chl). experiment group and 16.7% by the Phaeodactylum tricornutum (Pha). experiment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t. experiment group and Chl. experiment group. As for the male, maturation was the quickest at 60.0% by th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16.7% by the Chl. experiment group and 14.3% by the Pha. experiment group. In light of these results, Tet. is concluded to be a very useful feed organism in breeding the mother comb pen shells. Upon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e sexual maturation induction rate for the femal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82.0% in th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72.0% by the Chl. experiment group, 64.0% by the Pha. experiment group and 58.0% by the mixed micro-algae experiment group.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at 94.4% by the mixed micro-algae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90.0% by the Pha. experiment group, 83.1% by the Tet. experiment group and 78.8% by the Chl. experiment group.
Akashige, S. and Fushimi, T. (1992) Growth, survival and glycerol content of triploi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the waters of Hiroshima,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58: 1063-1071.
Hur, Y.B., Min, K.S., Kim, T.E., Lee, S.J., Hur, S.B. (2008) Larvae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chang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Larvae during artificial seed production. Journal of Aquaculture 21: 203-212.
Lee, B.K. (1988)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on the larvae of the fresh water prawn, Macrobrachium koreana (De Kwon).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21: 145-149.
Lee, J.H. (2004)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Murex shell (Ocenebra japonica) (Neogastropoda: Muricidae). Journal of Korean Fishery Society 37: 385-392.
Lee, S.J., Min, K.S., Kim, B.G., An C.M., Ju, S.M., Lee, J.S. (2006) Gonad development and gametogenic cycle of the Pen shell, Atrina pectinata (Bivalvia: Pinnidae). Journal of Korean Fishery Society 39: 398-403.
Prestera, T., Holtzclaw, W.D., Zhand, Y., Talalay, E. (1993) Chemical and detoxify carcinogens. Proceeding National Society USA 90: 2965-2969.
Pyen, C.K. (1969) Rearing of the larval prawn, Penaeus japonicus bate.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2: 87-91.
Shin, Y.K., Chin, P. (1994) Physiological change in related to molt cycle of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27: 380-389.
Yoo, S.K. (1970) The growth of food organisms for the mass production of molluscan seedings 1. Phaeodactylum, platymonas and chlorella.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 1-6.
Yoo, S.K., Kang, K.H., Lee, D.Y. (1998) Occurrence and survival rate of the larvae of sea musselm Mytilus edulis.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21: 35-41.
Yoo, S.K., Lim, H.S., Ryu, H.Y. (1988) Improvement of the seed production method of the pen shell.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21: 206-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