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Two Unrecorded Molluscan Species (Atrina teramachii and Liocranchia reinhardti) from Korean Waters
손민호(해양생태기술연구소) pp.91-9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wo molluscan species belonging to Bivalvia (Atrina teramachii Habe) and Cephalopoda (Liocranchia reinhardti Steenstrup) were found new to the Korean malacofauna. The author report, consequently, two additional molluscan species new to the fauna with figures and remarks on slight morphological variation comparing to the original and previous descriptions.

A Report on the Mass Mortality of the Farmed Japa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on the Korean Coasts of the East Sea
조규태(동해수산연구소) ; 김수경(동해수산연구소) ; 이철(동해수산연구소) ; Mohammad M. Rahman,(동해수산연구소) pp.93-9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Unexpected mass mortality has been one of the drawbacks in front of the stable production of Japa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onthe Gangwon coasts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The preliminary data from our routine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mortality appeared to be related to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farming site and the degree of the mortality was dependent on scallop strain.The present study performed to verify the preliminary findings exhibited that the mortality was closely related to daily temperature variation rather than monthly variation. Daily temperature variation was particularly damageable to the scallop during the temperature elevation period. Scallops from hatchery seeds (Chinese strain) were more tolerant against the temperature variation over those from wild seeds. The hatchery scallop gain of the temperature tolerance was probably due to their larval experience to higher temperature in the hatchery as well as their maternal genetic acclimation to upper temperature extreme of the Chinese environment which was recently found.

조석의 침투류에 의한 패류 유생의 착저(着底)효과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백상호(서해수산연구소) ; 박광재(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박영제(국립수산과학원) ; 전제천(국립수산과학원) ; 조기채(국립수산과학원) ; 김이운(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pp.97-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 바지락 부유 유생은 저질입경이 클수록 착저율(<TEX>${\Omega}_b$</TEX>)이 높았으며, 생물적으로도 저질을 선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침투류의 발생에 의한 유동장에 있어서는 유속이 10 cm/s, 저질 중앙입경 1.211 mm, 침투 유속 0.3 cm/s일 경우, 3.1-5.1 배의 부유 유생 착저 효과 <TEX>$\alpha$</TEX> (=<TEX>${\Omega}_b/{\Omega}_{b0}$</TEX>)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유 유생에 있어서 저질입경의 선택성은 생물적인 요인에 의존하고, 유동장에 있어서 착저 촉진 효과는 물리적인 안정 조건에 지배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번 새롭게 도입한 안정 지표(<TEX>${\lambda}p$</TEX>)에 의해 통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생의 안정 지표(<TEX>${\lambda}p$</TEX>)에 의하면, 유속이 작용했을 경우의 부유 유생은 저질입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거의 일정 값을 가지며, 초기 이동한계유속 및 전면 이동 한계유속에 대응하는 <TEX>${\lambda}p$</TEX>값은 각각 0.14, 1.06 이였고, 새롭게 제안한 안정 지표(<TEX>${\lambda}p$</TEX>)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의해 어떤 해역의 바지락 부유 유생의 부유 밀도, 저질 입경, 유동 조건이 명확할 때, 바지락 부유 유생의 착저율을 추측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It is a research that free floating larva of Ruditapes philippinarum in compliance with infiltration flow of tidal accumulation and bottom-clinging system in high density also, It is a precondition this for the continuous augmentation of Ruditapes philippinarum resources. So in flow field of tidal the free floating larva produced the infiltration water tank that can possibly bottom-clinging and experiment the water tank which uses free floating larva, It evaluates that the acceleration effect of free floating larva by infiltration in objective. As a result, 1) The experiment on free floating larva's bottom sediment grain diameter came to be high recording as bottom-clinging rate at the static water field and even biologically it selects bottom-clinging substrate it will be able to confirm. 2) About occurrence of infiltration flow field is in case of that: the drift of a current 10cm/s , bottom sediment grain 1.21mm infiltration flow 0.3cm/s increase of 3~5 times was confirmed. 3) From free floating larva of Ruditapes philippinarum the choice of bottom sediment grain diameter depends in the biological factor and form the flow field the bottom-clinging acceleration effect was controled over physical stable condition. 4) In case of density of Ruditapes philippinarum free floating larva of sea area, bottom sediment grain diameter, flow condition which are very cleanly in the research that possibly could conjecture the free floating larva's bottom-clinging rate.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성장 및 성숙 유도
문태석(국립수산과학원) ; 김병학(국립수산과학원) ; 박기열(국립수산과학원) ; 구학동(국립수산과학원) ;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 조필규(국립수산과학원) ; 임영섭(국립수산과학원) pp.105-112
초록보기
초록

키조개 양식은 근래에는 오염과 자연산 모패의 남획 등으로 점차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어 이들의 양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의 성성숙 조절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의 비만도와 생식소 및 유생의 발달단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키조개 모패로부터 인공종묘생산을 시도하였다. 키조개의 비만도를 살펴보면 어미의 연체부 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5월 중순부터 전 실험구가 먹이생물을 매우 활발히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실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부 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키조개 생식소의 성숙 발달단계는 비 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은 후기활성기로 판단되며, 시험 종료시에는 전 시험구가 완숙기와 방출기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3 종, Chlorella ellipsoidea, Tetraselmis tetrathele, Pheasant ylum tricornutum과 키조개 성성숙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키조개 암, 수 모두 Tet. 실험구에서 조직학적으로 빠른 성숙을 나타냈으며, 성성숙 유도율과 생존율 또한 Tet. 실험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Tetraselmis tetrathele가 키조개 어미사육에서 매우 유용한 먹이생물로 판단되었다. 자연 상태의 키조개 어미로는 인공종묘생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성숙실험한 키조개 어미로부터는 5 회의 채란기간 중 반응이 있었고, D형 유생이 정상적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나 키조개는 실내 인공성숙관리에 의해 채란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키조개 유생을 사육한 결과, I. galbana, Chaetoceros sp., P. lutheri 및 혼합구 전 실험구에서 실험 시작 3-5일 사이에 생존율이 매우 낮아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 어미 인공사육관리에 의한 인공종묘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키조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생사육 및 치패 생산에 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 할 수 있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degree of obesity, histological development stages of gonads and sexual maturation induction rates of comb pen shell, Atrina pectinata, per the type of micro-algae supplied. Terms of maturation by singular or mixed supply of microalgae, it was found that maturation of the female was the quickest at 60.0% by the Tetraselmis tetrathel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57.1% by the Chlorella ellipsoidea (Chl). experiment group and 16.7% by the Phaeodactylum tricornutum (Pha). experiment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t. experiment group and Chl. experiment group. As for the male, maturation was the quickest at 60.0% by th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16.7% by the Chl. experiment group and 14.3% by the Pha. experiment group. In light of these results, Tet. is concluded to be a very useful feed organism in breeding the mother comb pen shells. Upon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e sexual maturation induction rate for the femal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82.0% in th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72.0% by the Chl. experiment group, 64.0% by the Pha. experiment group and 58.0% by the mixed micro-algae experiment group.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at 94.4% by the mixed micro-algae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90.0% by the Pha. experiment group, 83.1% by the Tet. experiment group and 78.8% by the Chl. experiment group.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어미의 사육수온에 따른 성 성숙 유도
김병학(남해수산연구소) ; 문태석(국립수산과학원) ; 박기열(국립수산과학원) ; 진영국(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pp.113-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08년 3월 24일에 전남 영광군에서 채취한 말백합 어미 1,200 마리를 확보하여 수온조절 (20, 25, <TEX>$30^{\circ}C$</TEX> 및 자연해수) 에 의한 인위적인 성 성숙을 유도하였으며, 성숙 유도된 어미로부터 생존율, 비만도, 생식소 및 성숙 소요일수를 조사하였다. 말백합 어미의 연체부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5월 중순부터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시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각부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말백합의 생식소 발달단계는 비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인 3월 25일경은 전기 활성기였으며, 시험 종료일인 6월 30일에는 수온별로 다양한 생식주기를 나타내었다. 시험 종료 시 성숙 유도율은 <TEX>$30^{\circ}C$</TEX> 실험구에서 46.0%로 가장 높았고, <TEX>$15^{\circ}C$</TEX> 실험구 35.0%, 자연수온 18.0% 및 <TEX>$20^{\circ}C$</TEX> 실험구 12.0%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험 기간 중 생존율은 전 구간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사육수온을 20, 25, <TEX>$30^{\circ}C$</TEX> 및 자연수온으로 성숙 시험한 결과, 암컷의 경우 <TEX>$30^{\circ}C$</TEX> 실험구가 성숙이 가장 빨랐고, 수온이 낮을수록 늦은 경향이었으며, 수컷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말백합의 수온별 어미성숙은 <TEX>$20^{\circ}C$</TEX> 보다는 수온이 높은 실험구인 25, <TEX>$30^{\circ}C$</TEX>에서 성숙 유도율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rtificial induction of maturation by heating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broodstock was investigated from 25 May to 30 June in 2008. We experimented maturation by keeping the breeding water temperature at 20, 25 and 30℃ and as the natural water temperature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In case of the female, maturation was the quickest in the experiment group of 30℃ and the maturation tended to be slower as the water temperature was lower. The similar trend was displayed among the male. At experiment completion, maturation induction rat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46.0% in the experiment group of 30℃ followed by 35.0% in the experiment group of 15℃, 18.0% in the experiment group of natural water temperature and 12.0% in the experiment group of 20℃. During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the survival rate was of 90% or more in all groups.

사료 종류별 사육수온이 전복 치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조성환(한국해양대학교) ; 조영진(한국해양대학교) pp.121-12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different feeds. A 2 (feed type; the dry sea tangle and experimental diet) × 2 (water temperature; 20 and 23℃, and 23 and 26℃ in the 1st, and 2nd feeding trials, respectively) factorial design was applied. Forty-five juvenile abalone averaging 10.1 g in the 1st feeding trial and 11.5 g in the 2nd feeding trial were randomly stocked into 6 of 50 L plastic rectangular containers each. Fishmeal, soybean meal and shrimp head meal was used as the primary protein source in the experimental diet. And dextrin and wheat flour, and soybean oil were used as the primary carbohydrate and lipid sources in the experimental diet, respectively. The dry sea tangle and experimental diet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at the ratio of 1.5-2.0% total biomass of abalone with a little leftover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eight gai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 type, but not by water temperature in the 1st feeding trial. Regardless of water temperature, weight gain of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balone fed the dry sea tangle. However, weight gai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but not by feed type in the 2nd feeding trial. Weight gain was highest in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at 23℃, followed by abalone fed the dry sea tangle at 23℃,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and dry sea tangle at 26℃, which was lowest.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edible portio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 type, but not by water temperature in the 2nd feeding trial. However, ash content of the edible portio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but not by feed type. In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ell formulated feed was superior to the dry sea tangle for growth of juvenile abalone, and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0 and 23℃ seemed to be better than 26℃ to improve weight gain of abalone.

우리나라 남해안에 분포하는 참문어 (Octopus vulgaris)의 성숙과 산란
강현정(국립수산과학원) ; 김영혜(국립수산과학원) ; 김성연(국립수산과학원) ; 이동우(국립수산과학원) ; 최영민(국립수산과학원) ; 장대수(국립수산과학원) ; 곽우석(경상대학교) pp.127-13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경남 통영과 사천지역의 연안에서 2007년 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연안통발어업에 의해 어획된 참문어를 매월 1회 채집하여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직학적 검경을 통한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과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10월과 12월을 제외하고 연중 관찰되었다. 수컷의 경우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방정이 가능한 성숙 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다.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 변화는 암컷의 경우, 2월 1.26에서 5월 4.84로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였으며 8,9월에 다시 상승하였다가 10월에 0.38의 낮은 값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발달과정과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변화를 바탕으로 참문어의 산란기를 추정한 결과 주 산란기는 9월로 나타났다. 수컷의 경우는 연중 1.5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참문어의 50% 군 성숙체중은 919.6 g로 추정되었다.

Abstract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s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Korean fishing vessels have actively caught it. However, the study of this species has been poorly kn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Maturation and Spawning period of this species. Samplings have been monthly collected in Tongyoung and Sacheon of Gyeongsangnam-do, using traps. A total of 748 individuals were sampled from February 2007 to January 2008.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s, gonadosomatic index, total weight at 50% group maturity. The octopus total weight was between 128.6 and 3381.4 g. Females were distributed between 129.8 and 3381.4 g and males between 128.6 and 2378.4 g. The spawning periods were May to June and September. The total weight at 50% group maturity was estimated to be 919.6 g.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세포성 면역 반응
박경일(군산대학교) ; 최민순(군산대학교) ; 박성우(군산대학교) ; 박관하(군산대학교) ; 최상훈(군산대학교) ; 윤종만(군산대학교) pp.135-143
초록보기
초록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우리나라 조간대에 널리 분포하며 잘 발달된 생체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모니터링 종으로서 가치가 높은 생물이다. 본 연구는 산업활동으로 해양환경에서 그 농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생물체에 강한 독성을 가진 카드뮴이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바지락의 면역 기작을 이해하고 환경 모니터링 기법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을 위하여 바지락은 <TEX>$50\;{\mu}g/l$</TEX>의 카드뮴에 8일간 노출되었으며,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혈구의 미분화 세포의 구성비율, DNA 손상도, 혈구괴사율, 혈구 apoptosis 비율 및 혈구사망율을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미분화세포, DNA 손상도, 세포괴사율, 세 apoptosis 비율 및 세포 사망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apoptosis 비율은 세포괴사율보다 높게 증가함에 따라 바지락 혈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카드뮴의 농도는 세포괴사보다는 apoptosis를 유도하는데 더 효과적인 농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금속 오염에 대한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반응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이 가능하였으며, 세포성 면역반응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s been considered as a sentinel species due to dominant distribution along the coast of Korea and well developed regulatory system. In order to develop and understand immune responses of the Manila clams, clams were exposed to 50 μg/L of cadmium chloride (Cd) for 8 days and monitored the cellular immune parameters of the hemocytes including blast cell composition, DNA damage, necrosis, apoptosis and hemocyte mortality using a flow cytometer. The results showed that all immune parameter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creased remarkably compared to the controls and the increa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poptosis rate was higher than necrosis rate in the clams exposed to Cd suggesting that apoptosis was preferably induced by the concentration of Cd used in the present study. Our study indicates that the measurement of cellular immune responses of the Manila clam using flow cytometer will be a useful technique for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marine environment.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에 관한 미세구조적 기재
김은경(메드빌 수생태독성팀) ; 이정식(전남대학교) pp.145-151
초록보기
초록

담수 복족류인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난소는 나탑 후방부의 간췌장의 표면에 위치하며, 성숙시기에는 녹색을 나타내었다. 난소는 다수의 난자형성소낭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자형성과정은 5단계로, 난원세포기, 난황형성전기, 난황형성개시기, 난황형성활성기, 성숙기로 구분하였다. 난원세포는 직경 <TEX>$4-6\;{\mu}m$</TEX>의 원형으로 커다란 핵을 가진다. 난황형성전기의 난모세포는 직경이 약 <TEX>$20\;{\mu}m$</TEX>이며, H-E 염색에서 세포질은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난황형성개시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TEX>$60-80\;{\mu}m$</TEX> 내외로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낮은 난황과립들을 가지며, 난병에 의하여 난자형성소낭에 연결되어 있었다. 난황형성 활성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TEX>$100-120\;{\mu}m$</TEX>로 난황과립의 전자밀도, 크기, 양이 증가하였으며, 세포질에는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들이 발달하였다. 성숙기 난모세포의 세포질 대부분은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성의 난황과립들로 채워져 있었으며, 난막에서는 길이 약 <TEX>$1.1\;{\mu}m$</TEX>의 미세융모가 관찰되었다.

Abstract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germ cells during oogenesis of the melania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have been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ovary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hepatopancreas in the spiral posterior region. The ovary exhibited greenish color in the gonadal mature season. The ovary was composed of a number of oogenic follicles. Oogenesis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with histological features: (1) oogonia, (2) previtellogenic, (3) initial vitellogenic, (4) active vitellogenic, and (5) mature stages. Oogonia were oval in shape, 4-6 μm in diameter, and had a large nucleus. Previtellogenic oocytes were about 20 μm in diameter and the cytoplasm reacted with hematoxylin in H-E satin. Initial vitellogenic stage, oocytes were 60-80 μm in diameter, and small yolk granules of low electron density are scattered in the cytoplasm. Oocytes in the initial vitellogenic stage were connected with ovarian follicle by egg stalk. Active vitellogenic oocyte were 100-120 μm in diameter. Electron density, size and quantity of yolk granules that are distributed in the cytoplasm have increased from the previous stage. Result of TEM observations, the oocyte contains well-developed Golgi complex, endoplasmic reticula and tubular mitochondria in the cytoplasm. Cytoplasm of mature oocyte was filled with proteinaceous yolk globules of high electron density. In this stage, the length of microvilli in the egg envelope was approximately 1.1 μm.

한국 고유종 Pisidium (Neopisidium)coreanum (산골조개)의 metallothionein 유전자를 기초로 한 분자계통 분류학적 연구
백문기(인제대학교) ; 이준서(인제대학교) ; 강세원(인제대학교) ; 이재봉(인제대학교) ; 강현정(국립수산과학원) ; 조용훈(전남대학교) ; 노미영(전남대학교) ; 한연수(전남대학교) ; 최상행(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채성화(지앤시바이오) ; 박홍석(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준상(강원대학교) ; 이용석(인제대학교) pp.153-160
초록보기
초록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의 metallothionein 유전자는 염기서열 315개로 이루어져있으며 10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연체동물의 metallothionein 서열의 공식[C-x-C-x(3)-C-T-G-x(3)-C-x-C-x(3)-C-x-C-K] 에 맞춰본 결과 알려진 공식과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미노산의 조성도 시스테인 (Cys) 이 약 1/3 정도 함유하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LAST 결과를 토대로 선정 되어진 80개의 참고 서열 중 아미노산 레벨에서 가장 높은 스코어로 align 되는 서열들은 담수패인 Dreissena polymorpha (zebra mussel), Unio tumidus (swollen river mussel) and Crassostrea ariakensis (suminoe oyster) 등으로 나타났다. ClustalX 를 통해 multiple align 한 후 Neighbor-Joining 방법에 따라 phylodendrogram을 그려본 결과 Pisidium (Neopisidium)coreanum의 MT는 Dreissena polymorpha (Dp), Crassostrea gigas (Cg4), Crassostrea virginica (Cv7) 등의 생물들과 같은 군으로 묶이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Psipred 소프트웨어를 통해 2D 구조를 비교 분석 한 결과도 multiple align 및 phylodendrogram 결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ST를 통해 밝혀진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의 MT 서열은 근연종 들의 서열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에 기인하여 MT 서열은 분류에 사용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is a freshwater snail and lives in spring water near mountain areas. Interestingly, this snail has traditionally regarded as medicinal food, and thus has been used as folk remedies for healing broken bones. Recently, alpha classification on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through re-description has been conducted. However, not much attention has so far been made in beta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beta classification based on metallothionein (MT) genes found from various organisms. To this end, the complete cDNA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the Expressed Sequence Tag (EST) sequencing project of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The coding region (315 bp) gives an amino acid sequence of 105 residues. The combined results from BLAST analyses,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nd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Pc-MT gene indicate that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has similarity to freshwater bivalve such as Dreissena polymorpha (zebra mussel), Unio tumidus (swollen river mussel) and Crassostrea ariakensis (suminoe oyster).

수온과 염분의 변화에 따른 연령별 대복(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의 여과율 변동
신현출(전남대학교) ; 이정호(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정효진(전남대학교) ; 이정식(전남대학교) ; 박정준(전남대학교) ; 김배훈(전남대학교) pp.161-172
초록보기
초록

동해안의 유용 이매패류인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을 대상으로 기초 생리,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온과 염분에 따른 대복의 여과율 변동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먹이생물은 황색편모조강 Isochrysis galbana (KMCC H-002)를 f/2배지를 이용하여 고농도로 단일배양한 후 사용하였다. 여과율 측정은 간접 측정법을 이용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먹이생물은 광학현미경 하에서 혈구계산판을 이용하여 계수하였다. 수온별 대복의 여과율은 2, 3, 4년생 모두 저온에서 수온이 상승할수록 여과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TEX>$15^{\circ}C$</TEX>에서 최대로 나타났으며, 이 후 감소하는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염분별 대복의 여과율은 2, 3, 4년생 모두 30-35 psu의 염분범위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연령별 대복의 여과율은 수온, 염분변화에 관계없이 2년생 대복이 가장 높은 여과율을 기록했고, 4년생 대복의 여과율이 가장 낮았다. 다항회귀분석 결과 수온별 대복의 여과율 곡선은 모든 연령군에서 대체적으로 저온 구간으로 치우친 경향을 나타내었고 온도계수 <TEX>$Q_{10}$</TEX> 값 역시 저온에서 높게 나타나 저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별 여과율 곡선은 모든 연령군에서 대체적으로 고염 구간으로 치우친 경향이 나타나 저염분으로 갈수록 여과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조하대 부유섭식 이매패류인 대복은 비교적 저온에서 서식하며 넓지 않은 온도범위에서 서식하는 협온성생물이며, 좁은 염분범위에서 높은 여과율을 보이는 협염성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filtration rates of the venus clam, Gomphina veneriformis, a suspension-feeding(filter-feeding) bivalve species. The calm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ern coastal area of Sokcho, Gangneung and Jumunjin at Kangwon-do, Korea, during December 2006 and May 2007. Isochrysis galbana(KMCC H-002) cells as food organisms were indoor-cultured by f/2 medium, and were used to measure the filtration rate of clam. Filtration rates of clam were measured by indirect method. Cell concentration of food organisms were determined by direct counting cells used the hemacytometer under the light microscope. The filtration rates of clams by water temperature sharply increased with temperatures up to 15℃ as optimum temperature and above this temperature, the filtration rates decreased exponentially. Venus clams showed very low filtration rates at low salinity (10-15 psu) and maximum values at high salinity (30-35 psu). Regardles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t change, 2-year class clams showed high filtration rates, but low in 4-year-class. Polynomial regression curves with water temperature were shifted to the left in low temperature region. Thermal coefficient Q10 values showed much higher values at low temperature range than at high temperature range, to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enus clam is more sensitive in cold water. Polynomial regression curves with salinity were shifted to the right in high saline reg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venus clam Gomphina veneriformis, subtidal filter-feeding bivalve, was the stenothermal organism, inhabited mainly in low temperature and the stenohaline, in high saline waters.

제주도 연안에 분포하는 흰꼴뚜기 (Sepioteuthis lessoniana)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강현정(국립수산과학원) ; 김영혜(국립수산과학원) ; 이은희(국립수산과학원) ; 이동우(국립수산과학원) ; 장대수(국립수산과학원) pp.173-178
초록보기
초록

2006년 6월부터 11월까지 매월 1회씩 제주도 귀덕, 신산, 김녕, 강정 연안에서 정치망에 의해 채집된 흰꼴뚜기를 대상으로 흰꼴뚜기의 생식생물학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97 개체의 창꼴뚜기 중에서 암컷은 55 개체, 수컷은 42 개체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조사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7월과 8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다. 수컷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생식소의 숙도가 방정이 가능한 성숙단계 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완숙기의 개체는 9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결과, 산란기는 7월이라 판단된다. 흰꼴뚜기가 산란에 참여하는 군성숙외투장을 알아본 결과 암컷은 20.5 cm, 수컷은 12.3 cm로 추정되었다.

Abstract

The Binfin reef squid, Sepioteuthis lessoniana is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Korean fishing vessels have actively caught it. However,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is species has been poorly kn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ve biology of Sepioteuthis lessoniana in Jeju Island, Korea. The Binfin reef squid caught by set net, from June to November 2006.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s, gonad weight, mantle length at 50% group maturity and sex ratio were investigated. The mantle length of the Binfin reef squid was between 10.6 and 32.1 cm. Maturation and spawning occur all year around, with more intensity from July to September, with peak July. The spawning period was June. The mantle length at 50 % group maturity was estimated to be 18.01 cm. Sex ratio was 1 : 1.4 (male : female). The proportion of fe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x2-test, p>0.0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