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Article Contents

    Isotopic dietary history of Neolithic people from Janghang site at Gadeok Island, Busan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3, v.26 no.6, pp.387-394
    https://doi.org/10.5806/AST.2013.26.6.38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인골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는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생계 경제를 복원하는데 구체적인 가능성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인골이 많이 발견되지 않아 직접적인 식생활 양상 추적이 어려웠는데, 부산 가덕도 장항유적에서 출토된인골 48개체의 확인은 매우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골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δ13C(‰) = -14.5±1.3‰, δ15N(‰) =17.4±1.7‰, n=10). 뼈의 조직 분석 결과 보존 상태는 매우 안좋은 HI (조직학 지수) 0을 나타냈으나, 뼈콜라겐의 경우 질 평가지수에 합격한 값만을 사용하여 생존 시 식생활을 반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시의 고고학적인 정황을 고려할 때 장항 유적 피장자들은 해양성 식료를 주로 섭취하였고, 육상 동물및 야생 식물의 섭취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는데, 본 연구에서는 식료 섭취의 직접적인 증거가 되는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이러한 가정을 입증하였다. 이 외에도 펴묻기와 굽혀묻기 등 장법이나토기 등 부장품에 따른 안정동위원소값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신석기시대 최대 집단묘역인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은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생활상을 복원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증거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keywords
    bone collagen, bone histology, Gadeok Island, Neolithic diet, stable isotope analysis


    Reference

    1

     J. Y. Shin and J. J. Lee, J. Kor. Archaeological Soc., 70, 84-109 (2009).

    2

     신지영, 강다영, 제5부, ‘발굴 현장에서 고인골 분석 연구실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3

     S. H. Ambrose and L. Norr, In ‘Prehistoric human bone - Archaeology at the molecular level’, J. B. Lambert and G. Grupe, Eds., p1, Springer-Verlag, Berlin, 1993.

    4

     L. Tieszen and T. Fagre, In ‘Prehistoric human bone - Archaeology at the molecular level’, J. B. Lambert and G. Grupe, Eds., p121, Springer-Verlag, Berlin, 1993.

    5

     D. Y. Kang and J. Y. Shin, Analytical Sci. Technology, 25(5), 300-306 (2012).

    6

     D. I. An, J.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 54, 5-20 (2006).

    7

     K. Choy and M. P. Richards, J. Archaeol. Sci., 36(7), 1312-1318 (2009).

    8

     S. Y. Kang, E. S. Kwon, E. J. Moon, E. M. Cho, M. S. Seo, Y. J. Kim and S. H. Jee, J. Conservation Sci., 26(1), 95-107 (2010).

    9

     J. J. Lee, J.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 73, 31-66 (2011).

    10

     J. Y. Shin, T. C. O’Connell, S. Black amd R. E. M. Hedges, Radiocarbon, 46(2), 853-861 (2004).

    11

     J. Y. Shin, Bull. Kor. Chem. Soc., 32(1), 83-88 (2011).

    12

     J. Y. Shin, R. E. M. Hedges, J. Archaeol. Sci., 39(4), 1123-1130 (2012).

    13

     K. Choy and M. P. Richards, Archaeol. Anthropol. Sci., 2, 1-10 (2010).

    14

     H. S. Kim, J. Korean Neolithic Soc., 20, 89-111 (2010).

    15

     K. Choy and M. P. Richards, J. Archaeol. Sci., 39(7), 2091-2097 (2012).

    16

     S. H. Kim, J. Kor. Archaeology, 22-3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17

     G. J. van Klinken, J. Archaeol. Sci., 26(6), 687-695 (1999).

    18

     R. E. M. Hedges, A. R. Millard and A. W. G. Pike, J. Archaeol. Sci., 22(2), 201-209 (1995).

    19

     A. R. Millard, In ‘Handbook of Archaeological Sciences’, D. R. Brothewell and A. R. Millard, Eds., John Wiley & Sons, Ltd., 2001.

    20

     M. P. Richards and R. E. M. Hedges, J. Archaeol. Sci., 26(6), 717-722 (1999).

    상단으로 이동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