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논문 상세

    침강 장-흐름 분획법을 이용한 CdS 양자점 입자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CdS-quantum dot particles using sedimentation field-flow fractionation (SdFFF)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5, v.28 no.1, pp.33-39
    https://doi.org/10.5806/AST.2015.28.1.33
    최재영 (한남대학교)
    김도균 (한남대학교 화학과)
    정의창 (한국원자력연구원)
    권해두 (서울시립대학교)
    이승호 (한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CdS 양자점 입자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나노 결정으로 이러한 광학적 특성 때문에 질병 진단 시약, 광학기술, 미디어 산업 및 태양전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물질이다. 방출하는 빛의 색은 입자의 크기에 의존하기 때문에 CdS 양자점 입자의 크기 및 크기분포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dS 양자점 입자를 감마-선 조사법(<TEX>${\gamma}$</TEX>-ray irradiation method)을 이용하여 합성하고, 크기 및 크기 분포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침강 장-흐름 분획법 (SdFFF)를 이용하였다. 침강 장-흐름 분획법을 이용한 CdS 양자점 입자의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분석조건의 최적화(유속, 외부장 세기, field-programming)에 대하여 조사되었다.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으로 확인된 단일 입자의 크기는 ~4 nm 였으며, 단일 입자의 응집으로 생성된 2차 입자 크기의 평균은 159 nm로 확인되었다. 첨가된 입자 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dS 양자점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침강 장-흐름 분획법, 투과 전자 현미경, 그리고 동적 광 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으로 결정된 CdS 양자점 크기는 각각 126, 159, 그리고 152 nm 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침강 장-흐름 분획법은 비교적 넓은 크기분포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입자의 크기 및 크기 분포도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
    Sedimentation field-flow fractionation (SdFFF), Quantum dot (QD), Size and size distribution, γ- ray irradiation method

    Abstract

    CdS 양자점 입자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나노 결정으로 이러한 광학적 특성 때문에 질병 진단 시약, 광학기술, 미디어 산업 및 태양전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물질이다. 방출하는 빛의 색은 입자의 크기에 의존하기 때문에 CdS 양자점 입자의 크기 및 크기분포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dS 양자점 입자를 감마-선 조사법(γ-ray irradiation method)을 이용하여 합성하고, 크기 및 크기 분포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침강 장-흐름 분획법 (SdFFF)를 이용하였다. 침강 장-흐름 분획법을 이용한 CdS 양자점 입자의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분석조건의 최적화(유속, 외부장 세기, field-programming)에 대하여 조사되었다.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으로 확인된 단일 입자의 크기는 ~4 nm 였으며, 단일 입자의 응집으로 생성된 2차 입자 크기의 평균은 159 nm로 확인되었다. 첨가된 입자 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dS 양자점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침강 장-흐름 분획법, 투과 전자 현미경, 그리고 동적 광 산란법(dynamic lightscattering, DLS)으로 결정된 CdS 양자점 크기는 각각 126, 159, 그리고 152 nm 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침강 장-흐름 분획법은 비교적 넓은 크기분포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입자의 크기 및 크기 분포도를결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
    Sedimentation field-flow fractionation (SdFFF), Quantum dot (QD), Size and size distribution, <TEX>${\gamma}$</TEX>-ray irradiation method


    참고문헌

    1

    1. N. Soltani, E. Saion, M. Erfani, K. Rezaee, G. Bahmanrokh, G. P. C. Drummen, A. Bahrami and M. Z. Hussein, Int. J. Mol. Sci., 13(10), 12412-12427 (2012).

    2

    2. S. S. Narayanan and S. K. Pal, J. Phys. Chem. B, 110(48), 24403-24409 (2006).

    3

    3. J. Lee, V. C. Sundar, J. R. Heine, M. G. Bawendi and K. F. Jensen, Adv. Mater., 12(15), 1102-1105 (2000).

    4

    4. A. P. Alivisatos, W. Gu, and C. Larabell, Annu. Rev. Biomed. Eng., 55-76 (2005).

    5

    5. S. J. Han, P. Rathinaraj, S. Y. Park, Y. K. Kim, J. H. Lee, I. K. Kang, J. S. Moon and J. G. Winiarz, BioMed. Res. Int., 2014, ID 954307 (2014).

    6

    6. K. Qasim, J. Chen, Z. Li, W. Lei and J. Xa, RSC Adv., 3(30), 12104-12108 (2013).

    7

    7. A. Zattoni, D. C. Rambaldi, P. Reschiglian, M. Melucci, S. Krol, A. M. C. Garcia, A. Sanz-Medel, D. Roessner and C. Johann, J. Chromatogr. A, 1216(52), 9106-9112 (2009).

    8

    8. J. Choi, H. D. Kwen, Y. S. Kim, S. H. Choi and S. Lee, Microchem. J, 117, 34-39 (2014).

    9

    9. O. Obonyo, E. Fisher, M. Edwards and D. Douroumis, Crit. Rev. Biotechnol, 30(4), 283-301 (2010).

    10

    10. M. Mostafavi, Y. Liu, P. Pernot and J. Belloni, Radiat. Phys. Chem., 59(1), 49-59 (2000).

    11

    11. E. Bolea, J. Jimnez-Lamana, F. Laborda and J. R. Castillo, Anal. Bioanal. Chem., 401(9), 2723-2732 (2011).

    12

    12. Y. H. Park, W. S. Kim and D. W. Lee, Anal. Bioanal. Chem., 375(4), 489-495 (2003).

    13

    13. D. L. Green, J. S. Lin, Y.-F. Lam, M. Z. C. Hu, D. W. Schaefer and M. T. Harris, J. Colloid Interface Sci., 266(2), 346-358 (2003).

    14

    14. M. Kaszuba, D. McKnight, M. T. Connah, F. K. McNeil- Watson, and U. Nobbmann, J. Nanopart. Res., 10(5), 823-829 (2008).

    15

    15. S. Lee, S. Prabhakara Rao, M. H. Moon and J. Calvin Giddings, Anal. Chem., 68(9), 1545-1549 (1996).

    16

    16. F. V. D. Kammer, S. Legros, T. Hofmann, E. H. Larsen and K. Loeschner, TrAC, Trends Anal. Chem., 30(3), 425-436 (2011).

    17

    17. S. T. Kim, H. K. Kim, S. H. Han, E. C. Jung and S. Lee, Microchem. J., 110, 636-642 (2013).

    18

    18. P. J. P. Cardot, S. Rasouli, and P. Blanchart, J. Chromatogra. A, 905(1-2), 163-173 (2001).

    19

    19. J. C. Giddings, Science, 260(5113), 1456-1465 (1993).

    20

    20. J. C. Giddings, ‘Characterization of colloid-sized and larger particles by field-flow fractionation’, Los Angeles, CA, USA, 156-159 (1988).

    21

    21. J. C. Giddings, F. J. F. Yang and M. N. Myers, Science, 193(4259), 1244-1245 (1976).

    22

    22. T. Rameshwar, S. Samal, S. Lee, S. Kim, J. Cho and I. S. Kim, J. Nanosci. Nanotechnol, 6(8), 2461-2467 (2006).

    23

    23. M. Bouby, H. Geckeis and F. W. Geyer, Anal. Bioanal. Chem., 392(7-8), 1447-1457 (2008).

    24

    24. S. T. Kim, D. Y. Kang, S. Lee, W. S. Kim, J. T. Lee, H. S. Cho and S. H. Kim, J. Liq. Chromatogr. Relat. Technol., 30(17), 2533-2544 (2007).

    25

    25. S. Tadjiki, S. Assemi, C. E. Deering, J. M. Veranth and J. D. Miller, J. Nanopart. Res., 11(4), 981-988 (2009).

    26

    26. Martin E. Schimpf, Karin Caldwell and J. C. Giddings, In ‘Chapter 2. Retention-Normal Mode’, pp 31- 48, Mark R. Schure, Martin E. Schimpf, and P. D. Schettler, Eds., Wiley-Interscience, New York, 2000.

    27

    27. P. S. Williams, In ‘Chapter 9. Programmed Field-Flow Fractionation: Retention’, pp 145-165, Mark R. Schure, Martin E. Schimpf, and P. D. Schettler, Ed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2000.

    28

    28. P. S. Williams and J. C. Giddings, Anal. Chem., 59(17), 2038-2044 (1987).

    29

    29. J. Choi, H. D. Kwen, Y. S. Kim, S. H. Choi and S. Lee, Microchem. J, 117, 34-39 (2014).

    30

    30. Y. Wu, L. Wang, M. Xiao and X. Huang, J. Non. Cryst. Solids, 354(26), 2993-3000 (2008).

    31

    31. L. Baruah and S. S. Nath, Micro Nanosystems, 4(1), 80-84 (2012).

    32

    32. H. Dou, K. H. Kim, B. C. Lee, J. Choe, H. S. Kim and S. Lee, Powder Technol., 235, 814-822 (2013).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