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핵심신념붕괴,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간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사회적 반응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대인 외상 경험자를 중심으로

Moderated-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ocial Rea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Belief Disruptio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 Study on Adults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초록

본 연구는 대인 외상으로 인한 핵심신념붕괴가 침습적 반추를 거쳐 의도적 반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자기노출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사회적 반응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년 이내의 대인 외상 경험이 있고 당시의 주관적 고통을 5점 이상으로 보고하고 자기노출 경험이 있는 국내 성인 19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대인관계적 외상 체크리스트, 핵심신념붕괴 척도, 반추 척도, 자기노출 척도, 사회적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심신념붕괴,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부정적 반응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나, 긍정적 반응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 외상 경험자의 외상 후 성장 과정에서 사회적 반응과 같은 사회․관계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서술하였다.

keywords
대인 외상, 핵심신념붕괴, 반추, 자기노출, 사회적 반응, interpersonal trauma, core belief disruption, rumination, self-disclosure, social reaction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reactions. The data of Korean adul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n interpersonal traumatic event within 20 years, reported subjective distress with a score of 5 or higher at the time, and had engaged in self-disclosure experience were analyzed. Interpersonal Trauma Checklist, Core Beliefs Inventory, Rumination Inventory, Self-disclosure Inventory, and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were used to measure main variabl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a significant moder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volving self-disclosure and negative social reactions was observed. However, positive social reactions did not moder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socio-relational factors, such as social reactions, in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among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is study’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대인 외상, 핵심신념붕괴, 반추, 자기노출, 사회적 반응, interpersonal trauma, core belief disruption, rumination, self-disclosure, social reaction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