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가 경험하는 내재화된 낙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동료지원가가 주도하는 내재화된 낙인 감소를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 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동료지원가를 대상으로 연구 참가자를 모집한 후, 연구대상자 10명을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자르고 정렬하기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상위범주와 13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5개의 상위범주는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가 경험한 사회적 낙인’,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가 경험한 내재화된 낙인’,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가 경험한 회복’,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가 경험한 당사자 운동’, ‘내재화된 낙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화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가 경험한 사회적 낙인과 내재화된 낙인의 특성 및 내재화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 우리나라 맞춤형 내재화된 낙인 감소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고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internalized stigma in peer-supporter with a lived experience in Korea.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0 volunteers with a lived experience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cutting and sorting techniques. Five essential topics were identified for the experience of internalized stigma of participants with a lived experience. The five essential themes were “Public stigma experienced by peer-supporter with a lived experience,” “Internalized stigma experienced by peer-supporter with a lived experience,” “Recovery experienced by peer-supporter with a lived experience,” “The movement experienced by peer-supporter with a lived experience,” “Cultural factors influencing internalized stigma.” We explained these five essential topics and proposed the need to develop a customized internalized stigma reduction intervention in Korea.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