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영상 이미지의 정체성과 영향력

The identity and influence of film genr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5, v.0 no.13, pp.199-222
정희모 (연세대학교)

초록

이 글은 영화 장르의 이미지적 특성과 그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영화는 실재가 아니라 초당 24개의 영상이 반복되는 이미지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는가? 그것은 영화가 우리의 눈과 똑같은 카메라를 통해 현실을 연속된 이미지로 잡아내기 때문에 가능하다. 영화를 보면서 우리가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관객은 우리가 눈을 통해 현실을 보듯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보는 것이다. 눈과 카메라는 같은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영화가 현실적 힘을 가지는 이유는 삶의 스토리를 구성해 내는 서술적 힘 때문이라고 보았다. 영화의 서술적 힘은 감독의 영상 편집 때문에 일어난다. 감독은 이미지를 나누고, 병치시키며, 도치시켜 영화를 마치 실제 삶의 모습처럼 재구성해 낸다. 이런 편집의 과정에 통해 관객은 영화를 보면서 실제 삶과 혼동하게 되는 것이다. 영상 매체의 이런 현실 유사성은 현대 예술 장르 중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게 만드는 동인이 되었다.이 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은 영상매체가 결국 근대성의 산물이며, 현대의 한 표현방식이라는 것이다. 들뢰즈(G. Deleuze)의 말처럼 영화의 등장은 결국 대상에 대한 새로운 사고와 표현방식의 출현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금 영상매체에 대해 우리가 취할 수 있는 태도는 영상매체의 표현방식을 연구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이다. 주제어 영화장르, 이미지, 착시현상, 카메라의 시각, 영상편집, 현대 예술, 근대성, 새로운 표현방식

keywords
film genre, narrative, influence, image, camera, optical illusion, modern art, modernistic, progress of editing, the way of expression, film genre, narrative, influence, image, camera, optical illusion, modern art, modernistic, progress of editing, the way of expression, 영화장르, 이미지, 착시현상, 카메라의 시각, 영상편집, 현대 예술, 근대성, 새로운 표현방식

Abstract

This writing observes the identity and influence of film genre. The motion of film is not an existence but it only keeps repeating 24 images per second. However, why does the moment of film image have an enormous impact? It is possible to capture that movie leads our eyes through camera which is exactly like human eyes with continued images. This is why we see a phenomenon of optical illusion while watching movies. The spectators look at the world through camera like as we see a reality with eyes. Eyes and lenses of camera function in same way. Next, the reason why movie has an actual power in reality is that it predicates the structures of human being. The predications of movie occur by directors with editing. The director shares, distributes, and inverses films that remakes the structure like real captures of human being. By the progress of editing, the spectators confuse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The similarity of picture media became a motive that brings absolute power in genre of modern art. The main point of this writing is that the picture media became eventually a production of modern age, and this is the way to express modernistic. According to G. Deleuze's mention, the entering of film means the appearance of new consideration and the way of expression about the objects. Therefore, we definitely need to prepare our attitudes and research the expression of picture media that comes in our realities later on.

keywords
film genre, narrative, influence, image, camera, optical illusion, modern art, modernistic, progress of editing, the way of expression, film genre, narrative, influence, image, camera, optical illusion, modern art, modernistic, progress of editing, the way of expression, 영화장르, 이미지, 착시현상, 카메라의 시각, 영상편집, 현대 예술, 근대성, 새로운 표현방식

참고문헌

1.

(2003) 영상이미지의 구조, 나남출판

2.

(2001)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생각의 나무

3.

(2003) 영화 - 존재의 이해를 위하여, 생각의 나무

4.

(1999) 영화, 이미지, 이론, 문화과학

5.

(2001) 줌 - 아웃, 연세대 출판부

6.

(2002) 영상문화시대에 따른 인문학적 대응전략으로서의 이미지 연구, 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육개발원

7.

(2002) 시네마 1 ; 운동- 이미지, 시각과 언어

8.

(1997) 영화와 문학에 대하여, 민음사

9.

(1990)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0.

(1999) 영화와 모더니티, 민음사

11.

(1999) 영상 이미지 읽기, 문예출판사

12.

(2002) 영화의 환상성, 동문선

13.

(1992)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4.

(2002)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15.

(1995) 포스트 모던 문화읽기, 서울대 출판부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