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A Study on Troubles in North Korean Popular Film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7, v.0 no.18, pp.229-257
https://doi.org/10.18856/jpn.2007..18.00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keywords
trouble, character, space, voice, North Korean film, Troubles in my Home series, 인물, 갈등, 공간, 발화, 북한영화, <우리 집 문제> 시리즈

Reference

1.

김병욱, (2000) 언어서사물에 있어서의 공간의 의미, 한국서사연구회

2.

김기우, (2001) 세 가지 범주로 서사 구조 이론의 새 가능성 제시--미케 발의 서사란무엇인가, 한국서사학회

3.

김재용, (2001) 서사문학과 인물, 한국서사학회

4.

민병욱, (2005)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역락

5.

박주식, (2001) 언어, 내러티브, 담론: 헤이든 화이트의 역사 이론, 한국서사학회

6.

박진임, (2000) 비선형적 서술 구조, 여성적 글쓰기의 한 가능성--글로리아 네일러를중심으로, 한국서사연구회

7.

박혜경, (2001) 삶과 윤리의 통합을 지향하는 세계: 황순원 문학에서의 근대성의 문제, 한국서사학회

8.

변혜정, (2001) 영화에서 재현되는 여자다움과 그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9.

서곡숙, (2007.9.23) 거짓말/방문/가출이라는 북한영화의 내러티브 반복과 연기/침입/일탈이라는 북한여성의 자아정체성 재현,

10.

서정남, (2002) 서정남의 북한영화탐사, 생각의 나무

11.

서정남, (2000) 영화--음영서사에서 초점화와 서술의 문제, 한국서사연구회

12.

서정남, (2001) 영화 서사의 창작-전달-수용 매커니즘과 매체, 한국서사학회

13.

임효수, (2000) 북한 경희극영화의 희극성과 웃음유발 연구,

14.

정재형, (2004) 북한영화에 대해 알고 싶은 다섯 가지, 집문당

15.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바흐찐, (1989) 도스또예프스끼 창작의 제문제: 도스또예프스끼 시학,

16.

질들뢰즈, (2003) 니체와 철학, 민음사

17.

김경수, (1999)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이야기와담화, 민음사

18.

Vladimir Propp, (1968) Morfologija skazki, Leningrad, 1928,

19.

미하일 미하일로비치바흐찐, (1988)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20.

어빙 고프만, (1987) 자아표현과 인상관리--연극적 사회분석론,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