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신파와 신파성의 감각 -1920, 30년대 조선영화 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 of Shinpa in Chosun Cinem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8, v.0 no.20, pp.233-264
https://doi.org/10.18856/jpn.2008..20.008
김미현 (세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historical discussion on Shinpa by tracking down its process of changes, focusing on the 1920s and 1930s. In the discussions of early modern Korea, the conflict between the new and old appears the most extensively in the realms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Shinpa (新派), or the new wave, was in opposition to the old wave, and was a cultural discussion and a form of representation, symbolizing the early modernity of Korea. But it soon turned to be a symbolic word indicating older and lower quality of culture product.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meaning of Shinpa had been changed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Korean film production and discourse. In Chosun films, Shinpa was almost a kind of general style that films had to adopt as a matter of course. In the process of taste distinction in 1920s and 1930s, it was reduced down its meaning to old, unrealistic cliches. Around 1930, the left-wing film movement and the concept of film criticism emerged, and the popularity of foreign films, especially Hollywood films, Shinpa began to be depreciated in value, and it became an emblem of an old era, yellow-covered characteristics of Chosun cinema. Critics influenced on the meaning of shinpa converted, however, basically it was a sign of the formation of mass culture and a distinction of taste at the same time.

keywords
신파, 조선영화, 영화비평, 취향의 구별, 대중문화, Shinpa, Chosun cinema, film critic, foreign films, taste, mass culture

참고문헌

1.

김소연, 「전후 한국의 영화담론에서 ‘리얼리즘’의 의미에 관하여: <피아골>의 메타비평을 통한 접근」, ꡔ매혹과 혼돈의 시대ꡕ, 도서출판 소도, 2003, 17- 60쪽.

2.

김소은, 「근대의 기획, 신파 연극의 근대성 조건」, ꡔ어문론총ꡕ제39호, 2003, 93- 124쪽.

3.

김윤식, ꡔ한국문학통사 5ꡕ, 지식산업사, 2005.

4.

김진송, ꡔ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ꡕ, 현실문화연구, 1999.

5.

남명자,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에 대한 소고-멜로드라마 영화 대표적인 작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ꡔ국제비교한국학회ꡕ, 1999, 179-193쪽.

6.

서정남, 「신파적 서사양식의 유입과 전개, 그리고 남북한 영화에서의 계승에 관한 연구」, ꡔ한국학논집ꡕ 제34호, 2007, 141-178쪽.

7.

유민영, ꡔ한국근대연극사ꡕ, 단국대 출판부, 1996.

8.

유선영, 「초기 영화의 경험과 수용: 시각문화의 이접성과 근대성」, 임상원 외, ꡔ매체. 역사. 근대성ꡕ, 나남출판, 2004, 433-488쪽.

9.

유선영, 「한국대중문화의 근대적 구성에 대한연구: 조선후기에서 일제시대까지를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1992.

10.

유선영, 「황색식민지 시대의 서양영화 관람과 소비의 정치, 1934-1942」, 공제욱, 정근식 편, ꡔ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ꡕ, 문화과학사, 2006, 209-240쪽.

11.

유지나, 「한국 멜로드라마, 원형과 의미작용 연구」, ꡔ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ꡕ, 민음사, 1999.

12.

윤석진, ꡔ한국 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멜로드라마, 스캔들 혹은 로맨스ꡕ, 푸른사상, 2004.

13.

이순진, 「조선/한국영화에서 신파 또는 멜로드라마의 계보학」, ꡔ한국영화사, 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ꡕ, 김미현 책임편집,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37-45쪽.

14.

이순진, 「한국영화사 연구의 현 단계: 신파, 멜로드라마, 리얼리즘 담론을 중심으로」, ꡔ대중서사연구ꡕ 제12호, 2004년 12월, 187-244쪽.

15.

이승희,「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 ꡔ한국극예술연구ꡕ, 2002년 4월호, 93- 129쪽.

16.

이승희, 「기표로서의 신파, 그 역사성의 지형」, ꡔ한국극예술연구ꡕ 제23집, 2006년 4월, 9-43쪽.

17.

이영미, 「신파 양식의, 세상에 대한 태도」, ꡔ대중서사연구ꡕ 제9호, 2003년 6월호, 7-33쪽.

18.

이영일, ꡔ한국영화전사(개정증보판)ꡕ, 도서출판 소도, 2004.

19.

이호걸, 「신파양식연구: 남성 신파를 중심으로」,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2007.

20.

이효인, 「한국영화 근대성 연구 서설; 1960년대 한국영화 몇 편을 중심으로」, 경성대 석사학위 논문, 1996.

21.

천정환, ꡔ근대의 책 읽기, 독자의 탄생과 한국근대문학ꡕ, 푸른역사, 2003.

22.

Eunsun Cho, "Transnational Modernity, National Identity, and South Korean Melodrama (1945-1960s)”, PH.D. Dissertation of USC, 2006.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