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대중음악과 민중음악 사이 -김민기의 매체 실험, 「공장의 불빛」-

Between Popular Music and People's Music: Kim min-ki's Media Experiment, "Light of a Factor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8, v.0 no.20, pp.265-288
https://doi.org/10.18856/jpn.2008..20.009
최유준 (전남대학교)

초록

대중음악이 ‘민중의 음악’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보다 대중음악 속에 청각을 매개로 한 ‘구술성’의 요소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대중음악의 구술성에 대한 관심은 필연적으로 음향 복제기술과 대중매체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매체나 음향기술 자체가 문자를 통한 소통・과학적 방법론・합리성 등을 바탕으로 하는 고도의 ‘문자성’의 산물이라는 점이 대중음악을 논하는 데 있어서 피할 수 없는 아이러니이다. 따라서, 대중음악에 대한 논의가 구술성에 입각한 민중의 정치적 힘과 관련된 논의로 연결되는 순간, 대중음악의 정치적 목표 지점 가운데 하나는 대중음악의 구술성 그 자체를 가능케 하는 음향기술과 대중매체에 대한 긍정과 함께 다른 한편 문자성에 기반한 대중매체의 합리적 시스템에 대한 부정을 동시에 함의하게 된다는 역설에 맞닥뜨리게 된다. 이 논문에서 나는 대중음악에 함축되어 있는 구술성의 이러한 변증법적 성격에 주목하면서, ‘공장의 불빛’이라는 제목으로 1978년에 발표된 독특한 음악적 실험 한 가지를 조명한다. 대중음악과 음향기술에 입각한 대중매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면서, 대중음악이 갖는 ‘민중음악’으로서의 가치, 다시 말해 민중의 구술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정치적 잠재력을 점검할 것이다.

keywords
대중음악, 민중가요, 미디어/매체, 기술/테크놀로지, 구술성, 2차적 구술성, 공장의 불빛, 김민기, popular music, media, technology, orality, secondary orality, Light of a Factory, Kim min-ki

Abstract

If there is any room for 20th century ‘popular music’ to be interpreted as ‘people’s music’, the grounds for such an interpretation would be the oral practices embedded in popular music. But we cannot discuss the orality of popular music without considering sound reproduction technologies or the mass media connecting the individual members of an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to one other. And it is an inevitable irony that this mechanical reproduction and the mass media are products of a highly developed ‘literacy’ marked by scientific method, ‘rationality’, literate communication, and so forth. Therefore, at the very moment when our discussion of popular music turns to the question of a people’s political power exerted through orality, we end up with the following contradiction: that one of the main political ends of popular music is found in the affirmation of sound technologies that give popular music a ‘secondary orality’ and thus negate the ‘literate’ mass-mediated musical systems. Focussing on this dialectic character of orality implied in music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I examine a unique musical experiment, a musical play titled ‘Light of a Factory’ that was in 1978. I consider the value of popular music as ‘people’s music’, or its political potential to suggest a kind of musical oralit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mass-mediated reproduction.

keywords
대중음악, 민중가요, 미디어/매체, 기술/테크놀로지, 구술성, 2차적 구술성, 공장의 불빛, 김민기, popular music, media, technology, orality, secondary orality, Light of a Factory, Kim min-ki

참고문헌

1.

김창남, 「민중가요의 대중음악사적 의의」, ꡔ민족문화논총 35집ꡕ, 영남대학교출판부, 2007, 55-81쪽.

2.

김창남 엮음, ꡔ김민기ꡕ, 한울, 2004

3.

발터 벤야민, 최성만 역, ꡔ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ꡕ, 길, 2007

4.

월터 J. 옹, 이기우・임명진 옮김, ꡔ구술문화와 문자문화ꡕ, 문예출판사, 2003

5.

이덕기, 「노래굿 ‘공장의 불빛’ 연구」,ꡔ한국극예술연구 제22집ꡕ, 한국극예술학회, 2005, 211-238쪽.

6.

이영미, 「민중가요 비합법음반에 대하여」, ꡔ한국음반학 제10호ꡕ, 한국고음반연구회, 2000, 263-286쪽.

7.

Andrew F. Jones, Yellow Music : Media Culture and Colonial Modernity in the Chinese Jazz Age, Duke University Press, 2001

8.

Peter Manuel, Cassette Culture : Popular Music and Technology in North Indi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9.

Sara Engelen, “A Walk through the Music Bazaar - Reflections on the Future of Music” in How Open is the Future? : Economic, Social & Cultural Scenarios inspired by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ed. Marleen Wynants & Jan Cornelius, VUB Brussels University Press, 2005.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