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근대적 지식인 되기’를 향한 욕망의 서사 -김내성 추리소설에 나타난 탐정 유불란의 정체-

A Narrative of desire for being "modern intellectual" - The identity of private detective Yu, Bul-Ran represented in Kim, Nea-Sung's detective novels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1, pp.87-128
https://doi.org/10.18856/jpn.2009..21.003
최승연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Kim, Nea-Sung interestingly created the character, Yu, Bul-Ran(劉不亂) in his detective novels. Private detective Yu, Bul-Ran whose name was rooted in the name of famous French detective novel's writer "Maurice Leblanc", represents multi identities in many orthodox detective novels of Kim, Nea-Sung. At that time, there was not a private detective in Joseon and this fact made Kim, Nea-Sung not only consider the transcendental detective models depicted in the West detective novels for creating Yu, Bul-Ran, but also regard on the image of a detective being active on the basis of the political condition of that time. Yu, Bul-Ran, therefore, was destined to be born as a hybrid detective from the birth. At first, it seems that Yu, Bul-Ran is similar to Lupin created by Maurice Leblanc, who has the taste of disguise and is fond of loving. Although this identity covered with the image of Lupin would be seen as the most enchanted personality of Yu, Bul-Ran, he is shown as a representative of Japanese Imperialism when he starts to connect the real life of that time. The actual identities on this concept are as follows; Yu, Bul-Ran as a transcendental father for enlightening as well as educating the children of Joseon as a "Good Japanese", and as a subject of pseudo-imperialism who hunts up various spies for embodying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us, the political reality of Japanese Imperialism Yu, Bul-Ran has, can be proposed as a fundamental cause which pulls his death. As Kim, Nea-Sung breaking with the detective novels after the Independence, Yu, Bul-Ran disappeared from his stories.

keywords
detective novel, a private detective, taste, love, enlightenment, being a nation,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subject of pseudo-imperialism, detective novel, a private detective, taste, love, enlightenment, being a nation,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subject of pseudo-imperialism, 추리소설, 탐정, 유불란, 취미, 연애, 계몽, 국민되기, 대동아공영권, 의사-제국주체

참고문헌

1.

김내성, <탐정소설가의 살인>, 판타스틱 20, 2009년 봄호, 25~63쪽.

2.

김내성, <가상범인>, 조선일보 , 1937. 02. 13~03. 21.

3.

김내성, <가상범인>, 괴기의 화첩 , 청운사, 1952.

4.

김내성, <마인>, 김내성대표문학전집 , 삼성문화사, 1983.

5.

김내성, <백가면>, 소년 , 1936. 06~1938. 05.

6.

김내성, 백가면 , 평범사, 1951.

7.

김내성, <황금굴>, 동아일보 , 1937. 11. 01~1937. 12. 31.

8.

김내성, <황금굴>, 황금굴 , 아리랑사, 1971.

9.

김내성, <태풍>, 매일신보 , 1942. 11. 22~1943. 05. 02.

10.

김내성, <매국노>, 신시대 , 1943. 07~1944. 04.

11.

김내성, 황금박쥐 , 학원사, 1957

12.

권명아,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와 ‘좋은 일본인’되기」, 동방학지 130, 연세대 국학연구원, 2005, 305~332쪽.

13.

김내성, 「세계대극장가풍경」, 조광 , 1938년 6월호, 254~264쪽.

14.

김창식, 「추리소설 형성기의 실상과 김내성의 마인 」, 현대문학이론연구 7, 현대문학이론학회, 1997, 19~56쪽.

15.

김화선, 「대동아공영권의 전쟁동원론과 병사의 탄생」, 인문학연구 31권 2호,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004, 21~40쪽.

16.

박진영, 「제국의 상상력에 대한 통쾌한 복수」, 진주탑-김내성 탐정 번안 소설 , 현대문학, 2009, 545~562쪽.

17.

오혜진, 「1930년대 추리소설의 존재방식에 관한 일고찰」, 우리문학연구 20, 2006, 319~343쪽.

18.

윤정헌, 「김내성 탐정소설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4,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99, 195~214쪽.

19.

이상우, 「심상지리로서의 대동아(大東亞)」, 한국극예술연구 27집, 한국극예술학회, 2008, 163~ 201쪽.

20.

정종현, 「사실, 과학 그리고 문학의 신생」, 상허학보 23, 상허학회, 2008, 47~82쪽.

21.

정혜영, 「근대를 향한 왜곡된 시선」, 현대소설연구 31,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199~218쪽.

22.

정혜영, 「김내성과 탐정문학-일제시대 창작 작품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 한국현대문학연구회, 2006, 405~433쪽.

23.

정혜영, 「방첩소설 <매국노>와 식민지 탐정문학의 운명 , 한국현대문학연구 24, 한국현대문학연구회, 2008, 275~302쪽.

24.

조영암, 「아인 김내성 약전」, 진주탑-김내성 탐정 번안 소설 , 현대문학, 2009, 527~ 541쪽.

25.

천정환, 「한국적 근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계몽주의 문학과 '재미'의 근대화」, 역사비평 2004년 봄호(통권 6호), 2004년 2월, 343~363쪽.

26.

천정환·이용남, 「근대적 대중문화의 발전과 취미」, 민족문학사연구 30, 민족문학사학회, 2006, 227~265쪽.

27.

최애순, 「30년대 모험탐정소설과 김내성 백가면 의 관계 연구」, 동양학 44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1~25쪽.

28.

한용환, 「통합된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김내성 소설」, 동악어문논집 32, 동앙어문학회, 1997, 361~377쪽.

29.

계간 판타스틱(fantastique) 20, 2009년 봄호.

30.

대중문학연구회 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1997.

31.

윤대석, 식민지 근대문학론 , 역락, 2006.

32.

조성면,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 소명출판, 2002.

33.

고야스 노부쿠니, 동아 대동아 동아시아 , 이승연 역, 역사비평사, 2006.

34.

뤼디거 자프란스키, 악 또는 자유의 드라마 , 곽정연 역, 문예출판사, 2002.

35.

에르네스트 만델, 즐거운 살인 , 이동연 역, 이후, 2001.

36.

江戶川亂步, 「日本探偵小說の系譜」, 江戶川亂步 全集 第十九卷 續·幻影城 , 講談社, 1980.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