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90년대의 청년과 노래, 확장과 순환

Youth and the songs of the 1990s - the expansion and circulation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0, v.0 no.24, pp.113-134
https://doi.org/10.18856/jpn.2010..24.004
김병오 (전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e culture of young people, mainly in the universities, gradually started to decline in the 1990s unlike 1980's. It's not a matter of choice but inevitable flow. The changes should be accompanied to some extent by other changes of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Youth cultural activists tried hard to find new ways for overcoming the declining tendency. New generation issue entered the stage just at that time. Through the new generation phenomena, youth had changed their identity from the subject of production and protest to the symbol of consumption. In the song of youth culture, progression of these flows was the same. Young people would serve to maintain and expand the social responsibilities through the song. They have created a new song and accepted a new taste of music in the changing times. Furthermore they embraced the consumption of a particular music as the protestant behaviors and a part of cultural construction. In the process, the young people and their songs being on the outside of the university culture in the 1980's have grown up to be the new symbol of youth culture. These new tastes and styles were connected to 1970's.

keywords
청년, 청년문화, 민중문화, 신세대, 취향의 변화, 록음악, young people, youth culture, counter culture, new generation, change of taste, rock music, young people, youth culture, counter culture, new generation, change of taste, rock music

참고문헌

1.

서울대 메아리, 『메아리 공연 책자』, 1984~1998

2.

홍대 소리얼, 『소리얼 공연 책자』, 1990~1998

3.

천지인, 『천지인 공연 책자』, 1993.

4.

학생노동문학위원회, 「현실주의의 좌표」, 학생노동문학위원회 여름캠프자료, 1991.

5.

송재희 외,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 현실문화연구, 1993.

6.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시공사, 1998.

7.

이영미, 『서태지와 꽃다지』, 한울, 1999.

8.

이후편집부, 『오래된 습관 복잡한 반성』, 이후, 1998.

9.

김성기·심광현·원용진·조항제·김창남·임성희, 「좌담: 문화연구의 좌표와 전망」,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호, 한국언론정보학회, 1995년. 115~162쪽.

10.

강내희, 「문화연대와 1990년대 문화운동」,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1』, 문화과학사, 2003.

11.

박재홍, 「신세대-소비문화전개와 탈정치화의 맥락에서」, 『경제와사회』 제23호, 1994. 293~300쪽.

12.

방하남, 「청소년 인구의 경제활동 참여와 고용 구조」, 『한국인구학』 제22권 1호, 한국인구학회, 1999. 5~36쪽.

13.

백욱인, 「한국 소비사회 형성과 정보사회의 성격에 관한 연구」, 『경제와사회』 통권 제77호, 2008. 199~225쪽.

14.

이기훈, 「"청년", 갈 곳을 잃다」, 『역사비평』 통권 76호, 역사비평사, 2006. 359~386쪽.

15.

이수강, 「'세대론'과 '지식인 불신'의 틈바구니에서」, 『당대비평』 통권 제15호, 생각의나무, 2001. 219~232쪽.

16.

이수강, 「대학의 '1990년대'는 언제까지 일까: 대학 사회의 변화에 대한 단상」, 『당대비평』 통권 제10호, 생각의나무, 2000. 364~379쪽.

17.

이재원, 「時代遺憾, 1996년 그들이 세상을 지배했을 때 - 신세대, 서태지, X세대」, 『문화과학』 제 62호, 2010. 92~112쪽.

18.

주창윤,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언론과사회』 14권 3호, 2006. 73~105쪽.

19.

김영희, 「제1공화국 시기 수용자의 매체 접촉 경향」, 『한국언론학보』 47권 6호, 한국언론학회, 2003.12, 306-423쪽.

20.

http://dna.naver.com - 네이버 옛날뉴스 검색

21.

www.kinds.or.kr - 미디어가온

22.

www.maniadb.com - 매니아디비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