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청년’ 연애학 개론의 정치성과 최인호 소설

Introduction to Love Affairs of ‘Youth and Choi-Inho’s Novel - Focusing on Homeland Of Stars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0, v.0 no.24, pp.79-112
https://doi.org/10.18856/jpn.2010..24.003
이선미 (동국대학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reason of increasingly ppopular choice for 『Homeland of Stars』. Narrator of this text had a sensitive communication power. Regardless of the manly fantasy for the heroine, Gyeong-a, the communicative narrator caught the reality of the 1970s, aroused sympathy. Especially this text was connected with the Korean Youth-Cultue in the 1970s. The writer selected the 'Love Affairs'. Narrator analyzed the situation of love an the youth culture, comparatively. The sound social norm as the 1960s' tradition was engendered friction with the youth in the 1970s. Heroine and heroes didn't have love affairs because of the love culture genderd difference. Narrator examined these process and reason as a cultural anthropologist.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explain that the popular choice for 『homland of Star』 was to accept to the insight of narrator.

keywords
최인호, 별들의 고향, 대중성, 서술자, 독자소통감각, 연애학, 지식, 남성 서사, 연애풍속, 청년문화, 젠더, 민주주의, Choi In-ho, 『homland of Star』, youth-culture, sensitive communication power for reader, narrator, love affairs, demmocracy, Choi In-ho, 『homland of Star』, youth-culture, sensitive communication power for reader, narrator, love affairs, demmocracy

참고문헌

1.

『여원』, 『주간여성』, 『선데이 서울』, 『동아일보』, 『한국일보』, 『세대』, 『문학사상』

2.

최인호, 『별들의 고향 上, 下』, 예문관, 1973.

3.

최인호, 『바보들의 행진』, 예문관, 1974.

4.

최인호, 『맨발의 세계일주』, 예문관, 1974.

5.

김현, 「초월과 고문 - 한 소설가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사회와 윤리』, 일지사, 1974.

6.

김병익, 최인호, 조선작, 조해일, 「<좌담> 작가와 현실」, 『세대』, 1975.2, 148-157.

7.

김병익, 「1970년대 신문소설의 문화적 의미」, 『문화와 반문화』, 1979 122-123.

8.

김병익, 「문화적 민주주의를 위하여」, 『지성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1982, 13-24.

9.

김성환, 「1970년대 대중소설의 욕망 구조 연구」, 서울대 박사, 2009.

10.

김현주, 『1970년대 대중소설 연구』, 연세대 박사, 2003.

11.

배노필, 「베스트셀러의 문화적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 1999.

12.

서은주,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현대문학의 연구』, 2010.2, 7-39.

13.

송은영,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상허학보』15집, 2005,8, 419-445.

14.

우찬제, 「자전거 타고 바다 건너기」, 『달콤한 인생』, 문학동네, 2002, 309-310.

15.

이정숙, 「김승옥 소설의 소통 양상 연구」, 서울대 석사, 2004

16.

이혜림, 「1970년대 청년 문화구성체의 역사적 형성과정」, 서강대 석사, 2002.

17.

전상기, 「1960년대 주간지와 매체의 위상」, 『한국학논집』 36집, 2008.6 225-258 참조.

18.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여성의 글쓰기와 여성지성의 창출』, 여성문학학회 2010년 가을 학술대회 발표문, 37-52.

19.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여성의 글쓰기와 여성지성의 창출』, 여성문학학회 2010년 가을 학술대회 발표문, 37-52.

20.

한수영, 「억압과 에로스 - 1972년의 최인호」, 최인호, 『황진이』, 문학동네, 2002, 295-314.

21.

허수, 「청년문화 논쟁」, 『논쟁으로 본 한국 100년사』, 역사비평사, 2000, 318-324.

22.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2003

23.

김병익, 『지성과 반지성』, 민음사, 1974.

24.

김병익, 『문화와 반문화』, 문장, 1979.

25.

김승옥, 『보통여자』, 『강변부인』, 문학동네, 2004.

26.

김창남 엮음, 『김민기』, 한울, 2004.

27.

신현준, 『레논평전』, 리더스하우스, 2010.

28.

이성욱, 『쇼쇼쇼: 김추자, 선데이서울 게다가 긴급조치』, 생각의나무, 2004.

29.

이영미, 『대중가요사』, 민속원, 2008

30.

이임자, 『한국출판과 베스트셀러:1883~1996』, 경인문화사, 199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