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신생독립국의 자기인식과 아시아 상상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민족주의 사이의 한국영화(1957〜1960년대)-

Self-consciousness of Newly-independent State and the Imagination of Asia: - Notes on Korean Cinema(1957-1960s) between Cosmopolitanism and Nationalism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0, v.0 no.24, pp.275-312
https://doi.org/10.18856/jpn.2010..24.010
오영숙 (성공회대학교)

초록

1950년대 후반에서부터 60년대에 걸쳐 아시아 공간을 서사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작품들이 한국영화계에 대거 등장하였다. 이 글이 던지고자 하는 질문은 이런 것이다. 왜 아시아였고, ‘아시아’라는 기호가 갖는 함의는 무엇이었는가. 아시아 상상은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출현하였는가. 이러한 질문은 일차적으로는 당시의 국가적 상황과 한국영화의 존재양식의 관계에 관한 어떤 문제의식을 암시한다. 영화적 상상력이 일국적 영역을 넘어서 아시아 전체로 그 범위를 넓혀가던 일련의 현상들에서 의미있는 지점은 우리가 아시아 속에서 작은 거울들을 발견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우리에게 있어 아시아의 신생 국가들은 장차 따라야 할 대안적인 새로운 근대를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와 같은 고민을 공유하고 있는 나라들임과 동시에 나의 모습을 확인시켜주는 거울과 같은 존재였다. 당시의 일군의 영화들은 피식민지인들 간의 사적 친밀성이라는 코드를 통해 신생 독립국들 간의 유대감을 고양하고, 아시아의 고전으로 영화적 상상력을 확장시키고, 세계 속에 보여질 한국영화의 모습을 두고 고민하였다. 이러한 현상들은 궁극적으로는 이제 막 새로운 자신감을 얻은 신생 독립국의 자기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환기시킨다. 이러한 영화들이 부상했던 시기는 자신의 정신의 근거를 지나치게 서구적 모더니티에 기대어 찾았던 50년대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을 반성하고, 서구에 맞서면서도 보편적일 수 있는 자기 정체성 찾기가 비교적 자발적으로 시도되던 때였다.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영향이 아직은 남아 있으되 민족주의적인 문제의식에 눈을 뜨기 시작하던 때, 말하자면 코스모폴리타니즘과 민족주의의 사이에 놓여 있던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편성에의 의지와 특수성에의 의지는 동시적인 현상이다. 이 시기 한국영화에 출현한 바 있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그리고 인도를 잇는 아시아 표상은 서구적인 것에 맞서는 또 다른 보편성을 찾으려던 한국인이 선택할 수 있는 상상력의 최대치였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1960s Korean films, newly independent states, cosmopolitanism, nationalism, the feeling of Asian solidarity, Asian classics, 1960년대 한국영화, 신생독립국, 코스모폴리타니즘, 민족주의, 아시아 연대, 아시아 고전, 1960s Korean films, newly independent states, cosmopolitanism, nationalism, the feeling of Asian solidarity, Asian classics

Abstract

From the late 1950s through the 60s, film productions emerged en masse in the Korean film industry, drawing the Asian space into a narrative realm. I will examine various aspects of Korean films depicting Asia and elucidate the implications of being termed ‘Asian’ and investigate the process of cultivating imagination in Asia. These questions primarily allude to the relation of the representation aspects of Korean films and the state of the nation in that time. The significant point to take away from the series of movies depicting Asia is the breakthrough of self-reflection in Asia. While at the start,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in Asia sought to model after all things Western, by communicating and sharing the concerns of seeking out new and alternative modern thoughts, these states were able to corroborate their own image. Moreover, by enhancing the bond between newly independent states through personal intimacies of the colonized in Asia and expanding public imagination through Asian classicism, Korea as the newly independent state has ultimately acquired a newfound sense of confidence. Likewise, the concerns of how Korean cinema will be revealed on the global stage arouse their concerns regarding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national identities. And while the influence of cosmopolitanism which strongly dominated the rise of these movies in the 1950s still remains, this period is shared by another onset of nationalistic problem-awareness. This period was a time to reflect on the heavy dependence on Western modernism manifested in the ideology of cosmopolitanism in the 1950s, and a time where while being pitted against the West, people were comparatively willing to extend efforts to discover a universal identity as a alternative to American modernism. However pursuing universality and pursuing particularity occur simultaneously. The representation of China, Southeast Asia and India in Korean films during this period could be viewed in the light of maximized university which Korean made effort to stand against the West.

keywords
1960s Korean films, newly independent states, cosmopolitanism, nationalism, the feeling of Asian solidarity, Asian classics, 1960년대 한국영화, 신생독립국, 코스모폴리타니즘, 민족주의, 아시아 연대, 아시아 고전, 1960s Korean films, newly independent states, cosmopolitanism, nationalism, the feeling of Asian solidarity, Asian classics

참고문헌

1.

대통령 비서실, 『박정희 대통령 연설문집·2』, 동아출판사, 1973.

2.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45∼1957』, 공간과사람들, 2004.

3.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58∼1961』, 공간과사람들, 2005.

4.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2∼1964』, 공간과사람들, 2006.

5.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5』, 공간과사람들, 2007.

6.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6』, 공간과사람들, 2007.

7.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7』, 공간과사람들, 2008.

8.

『실버스크린』(1964.1) 『영화예술』(1965.12) 『한국교육신문』(2005.10).

9.

민관동, 「西遊記의 國內流入과 板本 硏究」, 『중국소설논총』제23집, 2006년 3월, 215∼240쪽.

10.

박유희, 「만주웨스턴 연구」, 『대중서사연구』, 2008년 12월, 7∼46쪽.

11.

박태균, 「한국 현대사와 민족주의, 그리고 일본」, 『문학과사회』, 2003 겨울호, 1651∼1667쪽.

12.

안진수, 「만주액션영화의 모호한 민족주의」, 『만주연구』, 2008년 12월, 199-229쪽.

13.

양인실, 「좌절된 세계화와 로컬리티 - 1960년대 한국영화와 재외한인」, 『로컬리티 인문학』제2호, 2009.10, 257∼285쪽.

14.

한석정, 「만주 웨스턴과 내셔널리즘의 공간」, 『사회와역사』, 2009년 12월, 5∼30쪽.

15.

차철욱, 「1950년대 미국의 대한 원조정책 변화와 이승만정권의 수출정책」, 『지역과역사』11호, 2002.12, 223~254쪽.

16.

공영민, 『2009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생애사>: 이성철 편』, 한국영상자료원, 2009.

17.

김기봉 지음,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푸른역사, 2006.

18.

김동호 외 지음, 『한국영화정책사』, 나남출판, 2005.

19.

김소영·얼 잭슨 주니어·임대근 엮음, 『아시아영화의 근대성과 지정학적 미학』, 현실문화연구, 2009.

20.

노영기 외 지음,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2004.

21.

쑨꺼 외 지음, 수유+너머 번역네트워크 역, 『반일과 동아시아』, 소명출판, 2005.

22.

우찬제 외 지음, 『4·19와 모더니티』, 문학과지성사, 2010.

23.

이영일 지음,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24.

이효인 외 지음, 『한국영화사 공부 : 1960~1979』, 이채, 2004.

25.

테사 모리스 스즈키, 김경원 역,『우리 안의 과거(media, memory, history)』, 휴머니트스, 2006.

26.

최원식 임규찬 엮음 『4월혁명과 한국문학』, 창작과비평사, 2002.

27.

최장집 편, 『해방 전후사의 인식』4, 한길사, 1997.

28.

최장집·하마시타 다케시 공편, 『동아시아와 한일교류』, 아연출판부, 2008.

29.

하루오 시라네·스즈키 토미 엮음, 왕숙영 옮김,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30.

한국영상자료원 편, 이효인 외,『한국영화사공부: 1960~1979』, 도서출판 이채, 2004.

31.

한국예술연구소, 『이영일의 한국영화사 강의록』, 소도, 2002.

32.

N.V.Volosinov, Marxism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Seminar Press, 197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