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퍼즐 맞추기 -김기덕 영화의 도상(해석)학적 이해를 위한 분석-

Puzzling Out - An Analysis for the Iconographical/Iconological Understanding of Kim, Ki-duk's Films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0, v.0 no.24, pp.365-390
https://doi.org/10.18856/jpn.2010..24.013
김소연 (중앙대학교)

Abstract

Until now, Kim, Ki-duk’s films have attracted international attentions to their sensational and violent aspects as well as to their pictorial images. Nonetheless, those pictorial images have been hardly analyzed with synthetic and systematic approaches. I tried to enlighten that so-called "the Kim, Ki-duk system" has been constructed based on a delicate and discreet semanticmapping of iconic image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Erwin Panofsky’s iconographical analysis. Even though the iconographical images in Kim, Ki-duk’s films seem randomly intertwined in a complex and incidental way,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colors, natural materials and animals. The three groups have their own subcategories which appear in many of his films repetitively: blue, red, white and black; soil, metal, water and air tortoise, snake, fish, bird, butterfly and human. What these icons signify is based on the contexts where they are located, in short, in a dialectic way. For example, the image of water, which has been indicated as the most important image in Kim’s films, can be contained in a fish tank or can flow freely to a river or an ocean the image of metal can become a handcuff or a birdcage or can become a mobile means of transportation like a motorbike or an airplan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note the way Kim’s films privilege human heads and hands as the representations of human bein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anks to the iconographical analysis, the notorious ambiguity of Kim’s films can be cleared and spectators can realize how determined the will-to-be liberated in Kim, Ki-duk system is.

keywords
김기덕, 시스템, 도상, 도상학, 도상해석학, 색상, 자연, 동물, Kim, Ki-duk, System, Icon, Iconography, Iconology, Color, Nature, Animals

참고문헌

1.

W. J. T. 미첼, 임산 역, 『아이코놀로지: 이미지 텍스트 이데올로기』, 시지락, 2005.

2.

그레고리 커리, 김숙 역, 『이미지와 마음: 영화, 철학 그리고 인지과학』, 한울 아카데미, 2007.

3.

김경애, 「김기덕 영화 <빈 집>의 공간, 시선, 그리고 소통」, 『문학과 영상』, 제6권 2호, 문학과 영상학회, 2005년 가을.겨울, 31-51쪽.

4.

김기덕, 「자필수고: 김기덕이 김기덕을 쓰다」, 정성일 편, 『김기덕: 야생 혹은 속죄양』, 행복한 책읽기, 2003, 67-103쪽.

5.

김소연, 「김기덕 영화에서 ‘동일시’의 윤리적 성격에 관한 고찰: <파란 대문>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7호, 현대영화연구소, 2010. 11, 155-185쪽.

6.

김소연, 「김기덕 혹은 (불)가능한 사랑의 연대기: 욕망과 사랑에 대한 라캉의 관점을 통한 접근」, 『영상예술』, 17호, 영상예술학회, 2010. 11. 137-169쪽.

7.

김애령, 『예술: 세계 이해를 향한 도전』, 이화여대 출판부, 2006.

8.

김호영, 「김기덕의 <나쁜 남자>와 이미지-텍스트로서의 영화」, 『역사와 사회』, 3권 29집, 국제문화학회, 2002, 265-286쪽.

9.

박종천, 「영화가 종교를 만났을 때: 김기덕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44호, 한국종교학회, 2006, 291-316쪽.

10.

서인숙, 「김기덕 영화, 그 사도마조히즘의 의미」, 『영화연구』, 20호, 한국영화학회, 210-231쪽.

11.

서지은, 「김기덕 영화에 나타난 모더니즘 연구: 시간과 공간, 인물과 플롯의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2006.

12.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 역,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1997.

13.

신준형, 『파노프스키와 뒤러: 르네상스 미술과 유럽중심주의』, 시공사, 2004.

14.

안드레아 벨라비타, 「약간 모자란 듯한 영화: 김기덕」, 주진숙 외 저,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 본북스, 2008, 129-149쪽.

15.

에르빈 파노프스키, 이한순 역, 『도상해석학 연구』, 시공사, 2002.

16.

에르빈 파노프스키,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에케하르트 캐멀링 편, 이한순 외 역,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이론-전개-문제점』, 사계절, 1997.

17.

이승훈, 『문학으로 읽는 문화상징사전』, 푸른사상, 2009.

18.

주형일, 『내가 아는 영상 기호 분석』, 도서출판 인영, 2007.

19.

진 쿠퍼, 이윤기 역,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 상징사전』, 까치글방, 1994.

20.

최태만, 『미술과 사회적 상상력』, 국민대 출판부, 2008.

21.

피터 버크, 박광식 역, 『이미지의 문화사』, 심산, 2005.

22.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집위원회, 『한국문화 상징사전』, 동아, 1992.

23.

Giuli Carlo Argan, “Ideology and Iconology,” The Language of Images, ed. by W. J. T. Mitchell, Univ. of Chicago, 1974.

24.

문일평, 「<빈 집>에 들어간 것은 광인인가 시인인가」, 『필름 2.0』, 2004. 10. 5, 197-98쪽.

25.

심수진, 「푸른 고통을 그려내는 미완의 스타일리스트」, 『필름 2.0』, 2001. 6. 5, 14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