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Noncountry and Adventure of Crossing-border - Popular novels in 1930s and young cosmopolitan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0, v.0 no.24, pp.7-43
https://doi.org/10.18856/jpn.2010..24.001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consider the aspects of youth and features of narratives in 1930s popular long length novels. The predominant characters of early 1930s popular novels came from models of 1920s youth, especially male socialists and female students majored vocal music. Speech and vocal solo revealed immediate pathos and touched other youth's sympathy. The voice of them was pure, transparent and noble. During 1930s, the voice of youth has been degraded and secularized. Speech of male socialists has been deteriorated into pessimistic behind stories. Female vocalists have become popular singer for recording, actress, concubine of sponsor and leisured woman so-called ‘modern madam’. In late 1930s popular novels, only a main male character achieves his success and abilities. Dejected socialistic intellectual and female students become ‘vanishing mediator’ for the success of hero. These novels have some geopolitical directions. Crossing border makes beginning or ending of the narratives. In early 1930s, the narrative is oriented toward ‘north’. At the north there was China and Soviet Russia. Some cities of China served as foreign base for resistance movement against imperial Japan. Russia meaned ideological utopia for young socialists. Besides some cosmopolitan cities such as Shanghai, Harbin are envisioned as hotbeds of high concept art and revolutionary passion. Young people crossed the border for their freedom for ideology, autonomy and emancipation of sexual repression. Some late 1930s popular novels have the theme like ‘returning of successful male modernist’. On the other hand other young modernists have to fail, soil their bodies and get the moral punishment. In the late 1930s, the ending of some novels is oriented toward ‘south’, that is, imperial Japan. Only the successful male modernist could return to colonial Chosun. He is no more young. He already becomes middle-aged imperial subject obtained authority from Japan.

keywords
1930년대 대중소설, 청춘, 세대 이행, 사회주의, 고급예술, 목소리의 세속화, 상상적 유토피아, 코스모폴리탄, 월경, 식민지 지정학, popular novels in 1930s, youth, shift of generation, socialism, high concept art, vocal music, oratory, secularization of voice, utopia of the Imaginary, cosmopolitan, crossing border, colonial geopolitics, popular novels in 1930s, youth, shift of generation, socialism, high concept art, vocal music, oratory, secularization of voice, utopia of the Imaginary, cosmopolitan, crossing border, colonial geopolitics

Reference

1.

방인근, 「방랑의 가인」, 『한국문학전집』 7, 민중서관, 1959.

2.

심훈, 「동방의 애인」, 『심훈문학전집』 2, 탐구당, 1966.

3.

심훈, 「불사조」, 『심훈문학전집』 1, 탐구당, 1966.

4.

유진오, 「화상보」, 『동아일보』, 1939.12.7-1940.5.2.

5.

이효석, 「벽공무한」, 『이효석전집』 5, 창미사, 2003.

6.

한설야, 『청춘기』(1937), 신원문화사, 2006.

7.

강진호, 『한설야』, 한길사, 2008.

8.

고명철, 「한설야 문학, 그 탈식민의 맥락」, 『반교어문논집』 20, 2005.

9.

권보드래, 「진화론의 갱생, 인류의 탄생- 1910년대 인식론적 전환과 3.1 운동」, 『대동문화연구』 66, 2009.

10.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2003.

11.

김재용, 「민족주의와 탈식민주의를 넘어서-한설야 문학의 저항성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48, 2005

12.

노지승, 『유혹자와 희생양』, 예옥, 2009.

13.

류병석, 「심훈의 생애 연구」, 『국어교육』 14, 1986.

14.

문영희, 『한설야 문학 연구』, 시와시학사, 1996.

15.

문화라, 「1930년대 한국 대중소설의 여성인물과 연애서사 연구」, 『겨레어문학』 37, 2006.

16.

믈라덴 돌라르, 「대상, 목소리」, 김종주 역, 『사랑의 대상으로서 시선과 목소리』, 인간사랑, 2010.

17.

박헌호, 「‘늘 푸르름’을 기리기 위한 몇 가지 성찰」, 『상록수』, 문학과지성사, 2005.

18.

서경석, 『한설야- 정치적 죽음과 문학적 삶』,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19.

송효정, 「식민지 후반기 문학의 근대 기획 양상」, 고려대 박사논문, 2010.

20.

에바 리거, 『서양음악사와 여성』, 이화여대출판부, 1991.

21.

오태영, 「“조선(朝鮮)” 로컬리티와 (탈)식민적 상상력-이효석의 『화분』와 『벽공무한』을 중심으로」, 『사이』 4, 2008.

22.

윤대석, 「제의와 테크놀로지로서의 서양근대음악」, 『상허학회』 33, 2008.

23.

윤정헌, 「일제하 연애소설의 두 양상-『승방비곡』과 『방랑의 가인』의 비교를 통해 본」, 『어문학』 87, 2005.

24.

이경재, 「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여성 표상 연구」, 『현대소설연구』 38, 2008.

25.

이미림, 「『벽공무한』의 여행모티프와 유희적 노마드」, 『한국소설학회』 26, 2005.

26.

이미향, 「근대 대중소설 연구」, 푸른사상, 2001.

27.

이정옥, 『1930년대 한국 대중소설의 이해』, 국학자료원, 2000.

28.

이창우, 「‘코스모폴리스’ 이념」, 『철학연구』 50, 2000.

29.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출판, 2007.

30.

임경석,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 역사비평사, 2008.

31.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32.

전영태, 「진보주의적 정열과 계몽주의적 이성-심훈론」, 김용성·우한용 편, 『한국 근대 작가 연구』, 삼지원, 1985.

33.

조프 일라이, 『The Left 1848-2000』, 유강은 역, 뿌리와이파리, 2008,

34.

최애순, 「『식민지조선의 여성범죄와 한국 팜므파탈의 탄생」, 『정신문화연구』 115, 2009.

35.

최원식, 「심훈 연구 서설」, 『한국근대문학을 찾아서』, 인하대출판부, 1999.

36.

한기형, 「‘백랑’의 잠행 혹은 만유-중국에서의 심훈」, 『민족문학사연구』 35, 2007.

37.

한기형, 「서사의 로칼리티, 소실된 동아시아-심훈의 중국 체험과 『동방의 애인』」, 『대동문화연구』 63, 2008.

38.

허병식, 「식민지 지식인과 그로테스크한 교양주의」, 『한국어문학연구』 52, 2009.

39.

홍순애, 「근대소설의 형성과 연설의 미디어적 연계성 연구」, 『현대소설연구』 42, 2009.

40.

홍이섭, 「1930년대 초의 농촌과 심훈 문학」, 『창작과 비평』, 1972.

대중서사연구